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수요일
수요일

철새들의 이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우리나라에도 매년철새들이 이동을 해서 정착을했다가

또 계절이 바뀌면 이동을하고 한다는데 그거리가 수백km에이른다고 하는데 어떻게 그렇게 먼거리이동이 가능한짖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철새들의 이동 위치를 찾는 방법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며 다양한 학설들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학습으로 선대에서 배워서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태양을 기점으로 방향을 찾는다는 설, 세번째는 별의 위치로 방향을 찾는다는 설, 네번째는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찾아간다 등등입니다.

    다만, 학자들의 연구에서는 어느 한가지로 길을 찾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복합적인 방법으로 방향을 찾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 기록된 조류는 약 527종이며, 이중에서 약 89%가 철새라고 하는데요, 철새란 계절에 따라서 번식지와 월동지를 이동하는 새를 말합니다. 여름철새의 경우 겨울을 동남아시아와 같이 따뜻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보내고 봄이 되면 우리나라에 찾아와 번식을 하고 여름이 지나면 다시 월동지로 이동하는 새입니다. 겨울철새는 여름철새와 반대로 우리나라보다 고위도 지역에서 번식을 하고 늦가을부터 우리나라를 찾아와 겨울을 보내고 이른 봄에 다시 번식지로 올라가는 철새입니다. 또한 철새들이 이동을 할 때는 자체의 에너지원인 저축해둔 지방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대기 속에서 발생하는 기류 이용합니다.

  • 철새들의 장거리 이동은 여러 가지 놀라운 적응 능력과 본능적인 메커니즘의 결과입니다. 이들은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능력, 별자리와 태양의 위치를 이용한 방향 감각, 그리고 유전적으로 프로그래밍된 이동 경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철새들은 비행 전 체지방을 축적하고, 비행 중에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특별한 대사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중간 휴식 지점에서 에너지를 보충하며, 유리한 기류를 이용해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철새들의 수백 킬로미터에 이르는 놀라운 장거리 이동을 가능케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철새들은 이동 준비를 위해 체중을 증가시키고, 에너지를 저장합니다. 이동 도중에도 식사를 즐기며 추가적인 에너지를 충전합니다.

    철새들은 매우 정확한 내장 나침반 및 태양 위치를 활용하여 방향을 유지합니다. 일부 종은 지형, 강, 별의 위치 등을 인식하여 길을 잃지 않습니다.

    일부 철새 종은 유전자적으로 이동에 적응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장거리 이동에 더 적합한 생리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