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총명한갈기쥐269
총명한갈기쥐269

주택청약 꼭 25만원 넣는게 현명한가요?

주택청약 최대 납입 금액이 25만원으로 상향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관해 의견이 나뉘어 질문 드립니다. 현재 저의 가입 기간은 10년이 넘었고, 약 500만원 들어있습니다. 25만원씩 납입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주택의 경우에는 납입횟수와 납부금액을 오래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일시금으로 많이 납입한 경우는 25만원만 인정됩니다. 가입기간은 24개월 이상에 24회 이상이면 모든 지역에 지원가능한데, 청약통장을 오래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같은 기간인 경우 금액이 많아야 당첨확률을 높일 수 있으니 공공주택의 경우에는 25만원씩 불입하여 횟수를 채우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공공주택 커트라인은 20년 이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 무주택기간이 길수록 유리하고 소득기준과 자산기준 조건 도 만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민영주택은 특정 납부 금액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데 이미 납입금이 500만원이상이므로 서울시 85m2이하인 경우 지원가능한데, 더큰 평수에 지원하더라도 모집공고 나기전에 차액을 한번에 넣어도 되므로 민영주택을 위해서는 계속 불입하지 않아도 되지만, 가점제를 위해서는 가입기간이 길어야 유리하므로 이후에는 최소한의 금액으로 계속 불입하여 청약저축 가입기간이 15년이 되면 만점인 17점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가점제는 1순위 청약자내의 순서를 가리는 것으로 무주택기간, 부양가족수, 청약통장 가입기간으로 따집니다.

    추첨제는 지역별, 평형별 청약통장 금액을 예치한 후 청약에 응모하면 추첨으로 선정합니다. 공고일 현재 청약자 본인 주민등록상 거주 기준입니다. 청약조정대상지역 기준 85m2 이하는 가점제, 초과는 추첨제 방식이 많은데 아파트 입주자 모집공고문을 확인해 봐야 합니다. 모든 면적에 대응하려면 가입기간 2년이상, 청약예치금 1500만원이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어느 경우이든 당첨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계속 불입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청약저축으로 나중에 공공청약을 하실 경우 주택청약저축가입기간, 납입횟수, 납입총액이 중요합니다.

    민간청약을 하실 경우 주택청약저축가입기간, 부양가족수, 무주택기간이 중요하므로 주택청약저축가입기간 2년하고

    85m2기준 300만원만 예치 해 놓으면 1순위가 됩니다.

    어떤 것을 목적을 하시는지에 따라서 다른 입금 전략을 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부분은 매달 꼬박꼬박 넣어서 기간과 예치금을 채우고 예치금이 많을수록 당첨에 유리하다고 합니다

    민영부분은 기간은 채웠는데 예치금이 부족하다면 한꺼번에 넣어도 된다고 합니다

    이번에 25만원으로 늘린이유는 젊은세대들이 예치금을 빨리 채우라는 뜻도 있다고 합니다

    본인이 어느부분으로 넣을건지 판단을 하셔서 선택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청약 통장은 납입 기간과 납입 횟수 그리고 총 납입 금액이 중요합니다.

    25만 원씩 꾸준하게 납입하시는 것이 가첨제 청약 하실 때 가장 유리하십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