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올곧은재칼30
올곧은재칼30

코인은 왜 조정? 을거치는건가요??

오를러면 그냥 오르지 왜 꼭 한번씩 내려가는거죠?? 그런걸하면 뭐가 이득인지 모르겟는데 왜 그런 현상이 생겨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코인뿐만 아니라 주식시장도 조정이 찾아오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합니다

    • 그 이유는 코인과 주식은 상승하다가도 수급이나 심리적인 영향에 따라서 가격이 떨어졌다가

      상승하기를 반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가격이 너무 오른다면

    이에 따라서 매도 물량 등이 나오는 등

    이에 따라서 조정 등을 거친다고 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 조작도 많이 열거되는 상황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코인을 갖고 있는 사람이 비트코인이 오를 때 하루 이틀 정도 매수를 많이 하면 그 신호를 받아서 다른 사람들이 따라서 매수를 하게 됩니다 왜 오르는지도 모르는데 자는 겁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모였을 때 그 이득을 회수하기 위하여 급매도를 해 버립니다 이게 주가 조작에 전형적인 모습인데요 이런 부분이 있다고 의심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지요 우리나라는 또 주가 조작의 나라 아닌가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매수, 매도가 균형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조정은 선물거래에 대한 해소가 있기에 한쪽으로 포지션이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다시 오를 수 있는 여력을 만들어주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상승장에서 조정은 비단 코인만의 일은 아닙니다.

    그것은 주식에서도 있고 어느 투자자산이든 존재합니다.

    모든 사람이 매수한 가격이 다르고 모든 사람이 만족하는 수익률이 다르기 때문에 일정 부분 오르면 코인이나 주식의 손바뀜 시간이 필요합니다.

    언젠가 터질 폭탄 같은 것을 서로 돌리는 시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인이 조정을 거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코인도 결국 투자판이라

    누군가는 차익 실현을 하게 됩니다.

    특히, 더 이상 오르지 않는 정체가 보이면

    곧 바로 차익 실현을 하게 되어서

    조정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정 현상은 코인뿐만 아니라 주식 등의 상품에서도 흔히 나타납니다.

    조정은 저가에 매수한 사람들이 차익 실현하면서 물량이 시장에 많이 출현하게 되면 상승세가 정체되면서 일시적으로 하락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건 코인이건 매일 오를수는 없습니다 크게 가기 위해선 손바뀜은 필수죠 

    그래서 기간조정은 반드시 있어야 더 크게 갈수 있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시장은 투자자 심리와 매수매도 균형에 따라 움직이는데, 차익 실현이나 조정 때문에 잠시 내려가는 경우가 많아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뿐 아니라 모든 투자 종목 (주식, 금, 채권 기타 등등)이 무조건적인 우상향은 존재 하지 않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상향 하는 종목이라도 그 과정에 조정을 거치는 변동성은 언제나 발생 하기 때문 입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지속적으로 상승했던 S&P500의 경우에도 표시한 구간과 같이 조정은 있어 왔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나 코인이나 같은 개념인데요, 자산시장에 있는 일입니다.

    말씀대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한번도 쉬지 않고 올라가는 건 잘 없는 일입니다. 왜냐하면 투자시장은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고, 이 사람들은 다양한 관점으로 투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만액 50%까지 내리 올랐는데, 여기서 점점 사람들이 이제는 팔고 현금화 하고 싶다... 라는 쪽이 많아지면 이제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격이 오르는데 심리에 따라 흥분상태라 실제 가치보다 더 오를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제가치를 찾아가기도 하는데 이렇게 떨어지는 걸 가격이 맞게 조정된다고 해서 '조정'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오르다가 떨어지는걸 전반적으로 조정이라고 표현하게 되었습니다.

  • 코인이라서가 아니라 주식이든 뭐든 한참 많이 오르면 어느 정도 조정을 받습니다. 말이 좋아 조정이지. 이거 너무 옳은 거 아니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 팔기도 하고 나는 수익이니까 팔래 하는 사람도 있고

    가격이 갑자기 많이 오르면 당연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