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국 수출 4.6% 감소, 우리도 맞닥뜨릴까 걱정돼요
6월 중국 수출 4.6% 줄었다는 점 솔직히 충격이었어요. 우리도 중국 쪽 바이어 몇 곳 있는데, 이대로 가면 연말까지 영향이 더 클까 봐 더 조마조마합니다. 다들 이런 하락 대응 어디서 정보 찾으시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중국 수출이 줄었다는 건 경기 둔화와 내수 위축이 겹친 영향이 크고 한국 기업도 비슷한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업계에서는 중국 현지 바이어 동향을 KOTRA, 무역협회 자료나 통관 통계에서 빠르게 확인하고, 일부는 베트남이나 인도 같은 대체 시장 정보를 같이 모니터링합니다. 결국 실무에선 고객사 주문 패턴을 가장 먼저 체크하면서 리스크를 줄이려는 대응이 많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세계 경제가 둔화된다는 전망이 커질수록 특정 국가 의존도가 높은 수출 구조는 위험이 커집니다. 미국이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를 다시 올릴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는 상황에서 대미 수출 비중이 큰 기업이라면 타격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시장을 분산해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최근에는 아세안이나 인도 중동 지역처럼 성장성이 높은 신흥국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변화가 단기적으로 비용과 시간이 들더라도 장기적 안정성 측면에서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선택지로 평가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이미 계속 시그널이 나오고 있었으며, 종사하시는 업계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꾸준하게 감소를 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중국의 자체기술 성장 및 내수경기 둔화로 인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경기를 잘 파악하시고 증설여부 및 생산량을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중국에 대한 수출액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인데, 두 국가 모두 수출이 감소하고 있는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https://mobile.newsis.com/view_amp.html?ar_id=NISX20250901_0003310158
물론 다양한 국가에 물품을 수출하는 수출국 다변화전략은 우리나라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이 있겠으나, 급격한 속도로 감소가 이루어지는 경우 수출산업 자체가 위기에 봉착할 수 있는 만큼 국가기관등의 시장정보, 해외정보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