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행복을 찾아요
행복을 찾아요23.03.06

불에 물을 부으면 화력이 더 커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작은불 말고 제법 큰 불이 있을때 물을 부으면 꺼지기는 커녕 화력이 더 타오르는것같던데 물을 붓는데도 불이 번지는 이유가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6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제법 큰 불이나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이 확산하는 데 큰 역할을 하는 것은 산소입니다. 불은 산소와 연료가 있는 환경에서 연소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불이 붙은 장소에서 물을 뿌리면, 물로 인해 산소가 분산되면서 오히려 화염이 더욱 강해질 수 있습니다.

    물을 뿌리면서 생기는 수증기는 불이 연소하는 데 필요한 산소를 잠시간 차단시키지만,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불길이 더욱 강해집니다. 또한 불이 번지는 원인 중 하나는 물로 인해 불에 있는 불씨들이 다른 곳으로 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에 물을 부으면 화력이 더 커지는 이유는 대개 불을 키우는 연소 반응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불을 키우는 연소 반응은 연료와 산소가 만나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산소가 연료에 연소하는 열에너지를 공급하면, 연료는 불에 의해 뜨거워지며, 이는 불의 화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을 불에 뿌리면, 불의 연소 반응에서 산소가 부족해져 화학 반응이 일어나지 않거나 매우 약하게 일어납니다. 이는 불의 화력이 약화되는 원인이 됩니다. 또한, 물이 불 위에 뿌려지면 불을 끌 수도 있습니다. 이는 불에 있는 연료를 소화하여 화염을 끄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크면서 온도가 높은 경우, 불의 표면 온도는 천천히 내려가지만 불 깊숙이 있는 부분의 온도는 여전히 높습니다. 따라서 불이 끊기지 않고 계속 타오르며 물을 붓게 되면, 불꽃에 의해 증발된 물이 뜨거운 공기와 혼합되어 물방울로 형성되기 어려워집니다. 그러면 물은 증발하면서 물증기가 되고, 불꽃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불꽃의 온도를 높이는 산화작용을 일으킵니다.

    또한, 물이 붓는 순간 불이 번지는 것은 불이나 연기 등이 물방울에 튀어서 인접한 곳에 불이 번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큰 불이 있을 때는 물 대신 소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소화제는 불꽃에 대한 반응을 억제하고 불을 직접 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민일 기름으로 발생한 화재에 물을 뿌리게 되면 불이 더욱 더 강해지게 됩니다.

    물을 뿌리면 기름이 물 위로 뜨게 되며 불이 더 강해집니다. 또 물이 급격히 기화되며 수증기를 타고 기름이 올라와 폭발하기도 합니다.

    또는 전기로 발생한 화재에 물을 뿌리면 물이 잔기로 인해 산소와 수소로 분해되며 폭발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에 물을 부으면 화력이 더 커지는 것은, 화염과 산소 반응의 역학적 특성으로 설명됩니다. 불에 물을 부으면, 물은 불의 온도를 낮추고, 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증발합니다. 그 결과, 불의 온도는 낮아지고, 불꽃도 작아지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그러나 불에 물을 부어도, 일부 영향이나 불꽃의 소멸로 인해 산소 공급이 늘어나면 불꽃이 커질 수 있습니다. 불꽃은 산소와 연소되면서 온도가 높아지며, 더 큰 화염을 만들어냅니다. 불꽃이 커지면, 불꽃 주변의 공기도 흡입되면서 연소 영역이 더욱 확대됩니다.

    결과적으로, 불에 물을 부으면 화력이 더 커지는 것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불에 물을 부어서 불꽃을 소멸시키면, 오히려 화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는 불이 너무 커져서 진화시키기 어려울 때 물을 부어서 화염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제법 큰 불이 있을 때 물을 부으면 화염이 더욱 강력해지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물은 불을 꺼릴 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방 방식은 산소를 차단하여 불을 꺼리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불을 유지하는 화염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오히려, 불에 산소를 공급하면서 열이 더욱 강력해집니다. 따라서, 큰 불에 물을 뿌리면 불은 강력해지고 번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둘째, 불에 물을 뿌리면 물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불이 강력해지는 원인이 됩니다. 불은 물보다 훨씬 높은 온도를 가지므로, 불에 물을 뿌릴 때 물은 즉시 수증기로 변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증기는 불과 반응하여 더 많은 열을 방출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불의 온도가 더욱 높아지고 화염이 더욱 세게 번집니다.

    따라서, 큰 불에 물을 뿌렸을 때 불이 강력해지고 번진다는 것은 물이 오히려 불을 꺼내는 것이 아니라, 불에 더 많은 열을 공급하여 더욱 강력해지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따라서, 큰 불에 대처할 때는 물 외에도 소화제나 소화기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화재나 불에 물을 부으면 더 활활타는것은 아닙니다. ㅎㅎ

    일반적으로 목재나 종이,섬유같은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물이나 소화기, 젖은 담요같은걸로 끄면 되구요..

    다만, 식용유나 신너,페인트등 유류 제품에 화재가 났을때 물을 부으면 높은 온도로 인해 물이 닿는 순간

    그 물은 화로 수증기 및 기체로 기화되어 불길이 갑자기 치솟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불이 어떤식으로 났느냐에 따라 물을 부을것인가를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답변에 도움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