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바다사자는 왜 사람들에게 공격적이지 않은가요?

바다사자 주변에서 인터뷰 하고 있는 기자 옆에 바다사자가 먼저 와서 애교를 부리고 수산시장 옆에서는 먼저 와서 물고기를 얻기 위해 애교를 부린다는 제보들이 있어요. 요즘은 바다사자를 일부러 사냥하지는 않지만 바다사자는 다른 야생동물에 비해서 사람을 유독 경계하지 않는 것 같아요. 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

    바다사자가 사람에게 비교적 공격적이지 않고 친근하게 행동하는 이유는, 본질적으로 이 종의 생태적 특성과 진화적 배경, 그리고 인간과의 상호작용 경험이 결합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바다사자는 사회성이 매우 강한 해양 포유류입니다.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서로의 거리 감각이 비교적 느슨하고, 체계적인 서열보다는 유연한 사회적 행동을 보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타 개체(심지어 다른 종)에 대해서도 비교적 관대하고 호기심 많은 성향을 보이게 만듭니다. 특히 인간이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되지 않을 경우, 호기심을 앞세워 접근하는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둘째로, 인간과의 오랜 공존 경험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바다사자는 역사적으로 사람에 의해 적극적인 사냥의 대상이었던 바다표범류와 달리, 비교적 일찍부터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인간의 공격을 받지 않는 환경에서 세대를 이어왔습니다. 인간을 포식자로 학습할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경계심이 약하게 유지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바다사자는 영역 방어 성향이 강하지 않은 해양 포유류입니다. 육상에서의 활동은 주로 휴식과 번식을 위한 것이고, 먹이 경쟁은 주로 해상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인간이 육상에서 가까이 다가와도 자신의 생존 영역을 침범당했다는 위협 반응이 적습니다.

    다만, 이는 바다사자가 근본적으로 온순한 동물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번식기 수컷이나 새끼를 보호하는 암컷은 매우 공격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위협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인간이 가까이 다가왔을 때 ‘공격하지 않는다’는 것은 공격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지, 공격 능력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추가 문의 사항 있으신 경우 댓글 적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바다사자는 사회적인 동물이고 호기심이강해서

    공격성을 띠기보다는 호기심을 갖고 탐색적으로 접근하게됩니다.

    다만 서식지에대한 위협이나 새끼보호본능등에의해서는 공격성을 띨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바다사자는 오랜기간동안 인간과공존하고 먹이를제공하거나 돌봄을 경험해왔기때문에

    인간이 위험대상이아닌것으로 학습한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사회적이고 호기심이 강한 성격을가지고있어서 낯선존재에도 탐색적으로 접근하는 행동이 두드러지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바다사자가 인간에게 공격적이지 않은 주된 이유는 일반적으로 인간을 먹이로 인식하지 않고, 호기심이 많으며 먹이를 얻으려는 행동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야생 바다사자는 먹이를 구걸하기 위해 인간에게 접근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인간과의 접촉에 익숙해진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바다사자가 사람에게 온순한 것은 아니며, 자신의 영역을 침범당했다고 느끼거나 위협을 받으면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 사실 바다사자가 인간을 크게 경계하지 않는 이유는 인간을 많이 접했기 때문입니다.

    즉, 바다사자는 매우 영리하기 때문에 인간과의 반복적인 접촉을 통해 사람을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하지 않게 된 것입니다. 특히 항구나 해변처럼 사람 활동이 많은 지역에 사는 개체들은 이러한 습관화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게다가 바다사자들은인간이 만든 부두나 부표를 천적이 없는 안전한 휴식처로 이용하면서 인간의 존재를 이점으로 여기기까지 하죠.

    또한, 수산시장이나 어업 활동이 많은 곳에서는 인간에게 쉽게 먹이를 얻을 수 있는 자원이라고 학습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행동은 때로 애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먹이 보상을 기대하는 학습된 행동인 것입니다.

    다만, 아무리 인간에게 익숙해졌다고는 하나 야생동물의 행동이기에 번식기의 수컷이나 새끼를 보호하는 어미는 여전히 영역을 지키기 위해 공격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