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정서적으로 예민한 편인데요. 어떻게 변화를 줄 수 있을까요?
아이가 타고난 성격이 그런건지, 사소하고 작은 일에도 쉽게 감정적으로 반응하고 예민해 할 때, 부모는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정서적으로 예민한 이유는 안정된 애착형성이 잘 되지 않아서 입니다.
아이는 부모님의 사랑과 애정, 관심을 받고 있다 라는 것을 피부로 느끼면 아이의 정서는 불안해 하지 않습니다.
즉, 아이는 정서적으로 불안함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예민함이 폭발하는 것인데요.
우선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의 심리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먼저 입니다.
또한 아이가 사소한 작은 일에도 감정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한다면 단호하게 이는 옳지 않음을 알려주고, 왜 사소한 작은 일에 감정적으로 반응하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사소한 작은 일 이나 큰 일이 일어났을 경우에도 감정적으로 대처하긴 보다는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머릿속으로 생각을 정리한 후에 언어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차분하고 부드럽게 전달해야 함을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이는 그림 그리기나 역할 놀이를 통해서 자신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정서적으로 예민하다면 좀더 변안한 감정을 가질수있도록 부모님께서 마음의 안정을 갖게 대화를 자주 해주시고 같이 여행가시는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정서적으로 예민한 경우,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활동이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평소에 무엇에 예민하게 반응하는지 관찰하고,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한 후 그에 맞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규칙적인 생활 습관과 충분한 휴식을 제공하여 아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정서적 발달을 돕기 위해 부모와의 대화 시간을 늘리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