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검소한큰고니230
검소한큰고니23022.12.14

무릎을 많이 쓰면 안 좋아 지나요

나이
41
성별
남성

신체의 한쪽을 많이 쓰면 그 쪽이 나중에 상한 다고 하더라구요. 저는 평소에 무릎을 많이 쓰는 일을 하다 보니 건강이 염려가 됩니다. 가끔 무릎이 시끈거릴 때가 있거든요. 우선 치료를 받아봐야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5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무릎통증 때문에 고생하시는군요.

    무릎을 많이 사용하면서 생기는 퇴행성 관절염이 만성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입니다. 치료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주로 사용하게 되고 심해지면 수술적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운동은 무릎에 하중이 가해지는 운동보다 수영과 같은 무릎에 하중이 없는 운동이 좋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도움이 된 답변에 좋아요와 추천버튼을 눌러주시면 더 좋은 아하 답변들이 순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무릎을 많이 쓰게 되면 연골이 닳게 되어 추후 퇴행성 관절염 등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만일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에 가셔서 의사의 진료를 먼저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무릎 부위는 주로 관절로 되어 있는데 관절은 닳게 되면 다시 재생시킬 방법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릎을 계속 사용하면 무릎 관절이 닳게 되며 나중에 퇴행성 관절염 같은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즉, 무릎을 많이 쓰면 안 좋은 것이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무릎 골관절염의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과사용에 의해서 연골이 닳는 질환으로 보통은 노령에서 생기지만 무릎을 많이 쓰는 운동선수나 직업적인 이유로 젊은 나이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한번 닳은 연골은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무릎을 아껴주시는게 좋습니다.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동작을 할때 주로 무릎에 부담이 많이 되기 때문에 이런 자세들을 줄여주셔야겠습니다.

    통증이 심하지 않다면 지금은 진료 보셔도 특별한 조치가 없고 무릎을 잘 아껴주시는 수 밖에 없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