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따구리는 왜 나무를 계속 쪼는건지 궁금한가요 , 그리고 부리가 아프거나 헐지 않는건가요 ?
안녕하세요 ㅎㅎ?
딱따구리의 경우 나무를 쪼고 있는걸 흔히 볼 수 있는데요,,, 왜 그렇게 쪼아대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딱따구리가 계속 그러면 자신의 부리가 아프거나 헐어버리지는 않는지 궁금합니다...
딱따구리가 나무를 쪼는 이유는 생존을 위해서입니다.
특히 나무 속에 숨어있는 벌레나 애벌레를 찾아 먹기 위함으로 딱따구리의 날카로운 부리로 나무껍질을 쪼아 구멍을 내고 그 안에 숨어있는 먹이를 꺼내 먹습니다. 또 번식기에는 둥지를 만들기 위해 나무에 구멍을 뚫습니다. 딱따구리의 둥지는 안전하고 따뜻하여 새끼를 키우기에 적합합니다.
그 외에도 자신의 영역을 알리고 다른 딱따구리에게 경고하기 위해 나무를 쪼아 소리를 내기도 하는데, 딱따구리의 울음소리와 함께 나무를 쪼는 소리는 다른 딱따구리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즉, 다른 딱따구리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나무를 쪼는 소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사실 딱따구리는 나무를 세게 쪼아도 부리가 손상되지 않습니다.
딱따구리의 두개골은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뇌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며 부리는 매우 단단하고 뾰족하여 나무를 쪼아 구멍을 내기에 적합하고 부리 끝 부분은 약간 뭉툭하여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딱따구리의 나무 쪼기는 단순한 행동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활동이며, 놀라운 적응력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딱따구리는 나무를 쪼아먹어 내부의 벌레나 미생물을 섭취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이나 영양소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딱따구리는 부리를 튼튼하게 유지하기 위해 나무를 쪼아서 부리를 닦거나 강화할 수 있습니다.
딱따구리가 지속적으로 나무를 쪼아먹는 경우 부리가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딱따구리는 부리가 계속 자라기 때문에 일시적인 손상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리를 강화하고 유지하기 위해 나무를 쪼아먹는 행동이기도 합니다.
딱따구리는 먹이를 찾거나 둥지를 만들기 위해 나무를 쪼며, 부리가 아프거나 헐지 않도록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딱따구리의 부리는 매우 단단하고, 두개골 구조와 함께 충격을 흡수해 부상을 방지합니다.
안녕하세요.
딱따구리는 단단한 나무를 부리로 쪼아 구멍이나 소리를 내는데요, 이는 먹이를 잡고 둥지를 지으며 자신의 영역을 널리 알리는 데 꼭 필요한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딱따구리는 초속 6~7m의 속도로 1초에 10~20번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나무를 쪼는데, 이때 딱따구리는 사람에게 뇌진탕을 일으키는 것보다 최고 14배의 충격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런 박치기를 하루 1만2000번이나 할 수 있는 이유로 뇌의 크기와 배치가 충격을 최소화하게 돼 있고, 두개골을 안전띠처럼 감싼 기다란 목뿔뼈와 두개골 뼈의 스펀지 구조가 충격을 완화한다는 등의 가설이 있습니다. 또한 딱따구리의 부리는 매우 단단하고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무를 쪼아도 큰 문제는 없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