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우리몸은 아주 정교하게 만들어져 있어서 조금만 이상이 있어도 반응을 한다고 합니다. 그럼 혈전이나 응혈은 젊은 애들도 생길수가 있는 것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56

우리몸속은 아주 정교하게 만들어진것 같아요. 몸속에서 혈액이 뭉치는 현상을 혈전이나 응혈같아요젊은 애들도 걸릴수가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우리 몸은 아주 정교하게 움직입니다. 그리고 혈액이 응고되는 현상이 젊은 사람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혈관 내의 응고과정이 불필요하게 나타난 경우 이것을 다시 녹이는 과정도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 균형을 통해 지혈이 필요한 혈관은 막아내고, 다시 개통할 필요가 있을 땐 혈전을 녹이는 작업이 진행됩니다. 다만 말씀하신 혈전의 경우 심혈관이나 뇌혈관을 막는 경우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혈관이 상당한 수준으로 병들기 전까지 이러한 일들이 나타나긴 어려우니 대부분 나이든 사람들에게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혈전이나 응혈(혈전증)은 젊은 사람들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전은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응고되어 혈관 내에 덩어리로 형성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나이와 관계없이 다양한 위험 요인이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에게도 혈전이 생길 수 있는 주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특정 약물 복용, 장기간의 움직임 부족, 흡연, 과도한 체중, 탈수, 그리고 특정 질환 등이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혈액 응고 장애(예: 유전성 응고 장애)나 특정 단백질 결핍(예: 항트롬빈 III 결핍, 프로틴 C나 프로틴 S 결핍) 등이 혈전 형성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피임약이나 호르몬 치료와 같은 특정 약물도 혈전 형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장기간 비행기 여행이나 수술 후 회복 중인 장시간의 움직임 부족 역시 혈전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흡연과 과도한 체중은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키고, 혈관 벽을 손상시켜 혈전 형성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탈수는 혈액을 더욱 끈적거리게 만들어 혈전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약물 복용 혹은 특정질환등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전이나 응혈 자체가 문제가 있는 것보다는 이들이 혈관을 막으면서

    해당 장기의 허혈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