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4.05

흔히 말하는 4대 문명이라는 것은 왜 그렇게 정해진 것인가요?

흔히 4대 문명이라고 하면 이집트 문명, 황하문명, 메소포타미아문명, 인더스문명이라고 하는데요. 왜 이렇게 정해진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대 문명이라는 것이 어떻게 정해진 것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4대문명이란 인류 문명의 원류를 중국, 인도,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의 네 갈래로 구분할 수 있다는 이론을 말합니다.

    중국 청나라 말기 변법자강운동 사상가이자 중화민국의 정치인이었던 량치차오가 1900년 자신의 저서 20세기 태평양가에서 언급한 이후 일본의 고고학자 에가미 나미오 등이 이러한 구분을 사용하면서 동양을 중심으로 확산된 개념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는 지리적으로 북위 20°~40°사이의 큰 강 유역으로, 기후가 온화하고 강수량이 많아 농경에 유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계 4대 문명은 중국 청나라의 정치인이 주장한 이론으로

    당시 서구 열강에 대한 열등감을 지우기 위해서

    중국도 대단했다 라는 식으로 꾸며낸 것이며

    이것이 일본에서도 동양인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목적으로 쓰여지면서

    한국에도 그 흔적이 최근까지 남아있었습니다만

    이론적으로 문제점이 많아서

    아시아 밖 다른 나라에선 전혀 쓰여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는 출도된 유적과 유물이 큰 강을 끼고 발달했기 때문에 붙여진 것입니다. 기원전 3600년경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끼고 발달한 메소포타미아 문명 기원전 3200년경 나일강을 끼고 발달한 이집트 문명 기원전 2600년경 인더스강과 갠지스강을 끼고 발달한 인더스 문명 기원전 1600년경 황하강을 끼고 발달한 중국 문명을 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대 문명이라는 개념은 중국 청나라 말기 지식인 량치차오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그는 1900년에 지은 시 '20세기 태평양가'에서 '지구상에 고대 문명의 조국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중국, 인도, 이집트, 소아시이다.'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또한 일본 고고학자 에가미 나미오가 <재정 세계사>에서 처음 구분을 사용하면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