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일본의 덴푸라는 포르투갈이 원조라는 것이 사실인가요?

일본의 덴푸라는 포르투갈이 원조라고 하는데, 이것이 사실인가요?

그렇다면 덴푸라의 기원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포르투갈에서도 덴푸라라고 부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덴푸라의 어원은 포르투갈어로 금육일을 뜻하는 Tempora입니다. 포르투갈은 15세기에 대항해 시대를 열었던 해양강국 답게 해산물을 많이 먹었으며 유럽에서 처음으로 생선을 기름에 튀겨 먹기 시작했습니다. 이 문화가 16~17세기에 일본에 전래된 것이죠.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덴푸라의 기원이 궁금하군요.

      오늘날의 덴푸라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생선에 밀가루, 물, 달걀로 만든 튀김옷을 입히고 기름에 튀긴 ‘필레테스(Filetes)’라는 포르투갈 요리입니다.

      필레테스는 나가사키(Nagasaki) 항구를 통해 포르투갈과 스페인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졌던 아즈치모모야마 시대(1573~1603)에 들어와 교토(Kyoto), 오사카(Osaka)를 거쳐 에도(도쿄의 옛이름)에 전파되어 덴푸라라는 이름으로 정착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덴푸라는 고로모아게를 말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 해산물과 채소 등을 달걀과 밀가루를 섞어서 튀김옷에 무쳐서 기름에 튀겨낸 것을 말합니다.

      덴푸라를 바삭바삭하게 튀기기 위해서는 튀김옷과 속재료와의 조화가 매우 중요하므로 튀김옷을 만들 때에는 너무 휘저어 글루텐의 찰기가 생기지 않도록 가볍게 혼합하여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덴푸라의 어원은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일본의 나가사키의 개항으로 이때부터 외국인이 들어오면서 이들이 기름으로 재료를 튀기는 것을 보고 힌트를 얻은 요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름에 튀긴 것을 포르투갈에서는 덴패라라고 합니다

      덴푸라는 원래 대육식 금지일을 의미하는 '우스템페로스(Os Temperos)'라는 말이 변형되어 만들어진 것입니다 고기를 먹지 못하는 사순절 육식금지 기간에 열량을 보충하기 위해 먹던 음식으로, 일본의 나가사키에 있었던 포루투갈 선교사들이 전파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포르투칼에서도 덴프라라고 부릅니다. 덴푸라의 어원은 포르투칼어로 금육일을 뜻하는 Têmpora(텡푸라)양념을 뜻하는 Tempero 라는 의미 입니다. 보통 뒷부분을 줄여서 그냥 天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흔하게 볼 수 있다고 합니다. 天丼 텐동,海老天 ( 새우튀김)등등으로도 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