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공모주 청약 시 종목 선별 기준이 뭔가요?

공모주는 거의 무조건 수익을 주는 것 같아 대부분의 청약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종목은 거른다고 하던데 정확한 기준이 뭐예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지표들을 참고하는 편인데요.

    수익을 주는 공모주도 많지만 반대로 오히려 물리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 기업의 사업 아이템, 섹터

    • 영업이익과 매출액

    • 기관 수요 예측

    • 공모밴드 대비 공모가

    위와 같은 내용을 참고해 청약을 진행하곤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가 대비 예상 주가, 주가 수준, 가치 평가 등을 고려하여 투자의 리스크와 수익을 판단합니다. 고평가된 종목이나 과열된 시장에 대한 청약을 거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볼것은 기관들의 경쟁률입니다. 개인이 공모청약에 참여하기전에 기관들이 우선적을 먼저 경쟁방식으로 공모입찰 참여를 하는데요 이들 기관들의 참여의 경쟁률과 두번째는 이들 기관이 공모가격의 분포도를 보는것인데 공모기준가 범위보다 얼마나 상단초과하는 범위로 기관들이 얼마나 입찰을 넣었는지가 중요합니다.

    즉 경쟁률 높게나오는것과 상단초과범위의 공모가 흐름을 판단하는게 우선적이며 두번째는 이들 기관의 의무보유협약도 중요합니다. 만약 의무보유협약을 3개월 6개월까지 걸어버린다면 공모 당일날 물량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수급적으로 유리합니다.

    그리고 최근 공모주 분위기도 중요합니다. 최근 1~2주간 넓게는 한달사이 공모주의 분위기가 공모당시 어떤 분위기냐에 따라 이런 흐름이 최근 공모주에도 수급의 중요하기 때문에 이런 좋은 분위기를 갖고 있는지를 보시는것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공모당일 단독상장하는게 유리합니다 혹여 단독상장이 아니고 복수상장이며 그만큼 수급이 나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것도 명심하시면됩니다.

    이외에도 공모가의 산정기준이 PER나 EV/EBITDA등 여러 지표를 활용하는데 이런 밸류에이션 지표가 높게 산정되는지 참고해보시고 두번째는 공모주식의 섹터가 시장에서 주도주인 섹터인지도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는 구주매출이 없고 신주모집 100%인게 유리하기 때문에 이부분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공모주를 청약할 떄에도 미래에 성장성 있는 기업이며

    유의미한 실적 등이 있어야 투자하는 등 합니다.

    개인만의 기준을 두셔야 할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라고해서 대부분 수익을 주진 않는데요. 기업의 미래가치를 보고 청약신청을 하는게 좋은데, 그중에서도 거르면 좋다고 말하는 기준은 낮은 기관경쟁률, 수요예측시 낮은 의무보유확약, 높은 유통가능 금액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