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Amy
Amy

이건 훈육을 하란 말씀일까요?? ㅜㅜ

내일이면 21개월 되는 아들래미 키우고 있고 현재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습니다~ 어린이집은 18개월부터 다녔고 현재 0세반이구요! 오늘 키즈노트를 봤는데 선생님께서 저희 아들이 갖고싶은 놀잇감을 친구가 가지고 있으면 이제 힘으로 뺏어 오기도 해요 라고 적어 주셨는데.. 제가 뺏고 그런건 훈육을 좀씩 시켜야 할거 같은데 어떻게 시켜야 할지 모르겠어요 ㅜㅜ 왕초보 맘이라 ㅜㅜ 조언좀 부탁드릴게요 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1개월은 자기 욕구가 강해지는 시기라 힘으로 장난감을 뺏는 건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입니다. 다만 훈육보다는 기본 규칙 알려주기가 좋습니다. 뺏었을 땐 '친구 거야, 차례를 기다리자'라며 간단히 말하고, 아이손을 잡아 돌려주는 행동을 반복하세요. 차례 기다림을 놀이처럼 알려주면 점차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보육교사입니다.

    어린이집에서 아이의 행동적 특성 중 친구가 가지고 놀던 놀잇감을 힘으로 뺏어 오기도 한다 라는 문구는

    아이의 행동을 가정에서 지도를 해주면 좋겠다 라는 전달사항을 적어 놓은 것입니다.

    아이가 21개월 이면 자아가 성립되기 시작하면서 자기 주장도 완강해 지는 시기 이오니

    되는 것과 안 되는 것,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 등의 구분을 명확하게 인지시켜 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또한,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라는 속담이 있듯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 잡아주지 않으면 습관이 되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잘못은 그 즉시 알려주어 잘못된 것을 바로 잡아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하원을 하고 가정으로 돌아오면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함으로 친구의 장난감을 뺏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이러한 행동들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실제로 18개월 아이는 부모의 말을 알아 듣지 못하기 때문에 훈육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1개월 아이가 친구의 놀잇감을 힘으로 빼앗는 행동은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모습입니다. 아직 자아 중심적인 사고가 강하고, 감정 조절이나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훈육은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인정해주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00이가 저 장난감 갖고 싶었구나”처럼 아이의 욕구를 공감해주고, 이어서 친구의 입장을 설명하며 “친구도 지금 가지고 놀고 있었어”라고 알려주세요. 행동 자체에 초점을 맞춰 “그건 좋지 않은 행동이야”라고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말하고, “친구에게 ‘나도 놀아도 돼?’라고 말해보자”처럼 대안을 제시해 줍니다.

    같은 놀잇감을 여러 개 준비하거나 충분한 놀이 시간을 확보해주는 것도 갈등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점차 사회적 규칙을 익히고 타인을 배려하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일관된 태도로 지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