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수출 증가율 둔화했다는데 반도체 영향 있을까요

8월 수출 증가율이 5.8% → 3.0%로 확 떨어졌다고 하던데 반도체 수출이 줄어서 그런 건가요 아니면 미국 관세 영향도 있나요 현실적으로 체감 되는 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8월 수출 증가율이 갑자기 꺾였다는 얘기 들으면 제일 먼저 반도체부터 떠올리게 됩니다. 우리나라 수출 비중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게 워낙 크다 보니 조금만 흔들려도 전체 지표가 확 휘청거립니다. 특히 메모리 가격이 예전만 못하고 수요가 둔화되면 바로 통계에 찍히는 게 당연합니다. 거기에 미국이 중국이랑 부딪히면서 반도체 장비나 첨단 제품에 규제 얹는 것도 부담이 됩니다. 현장에서 보면 기업들이 출하 시점 늦추거나 신규 계약을 보수적으로 가져가서 체감이 큽니다. 그냥 숫자만 내려간 게 아니라 수출 기업들은 불안감이 더 커졌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8월 수출 증가율이 둔화된 건 반도체 단가 회복세가 기대만큼 빠르지 않았던 게 큰 이유로 꼽힙니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다 보니 조금만 꺾여도 전체 지표가 확 내려갑니다. 미국 관세 변수도 일부 업종에 부담을 주긴 했지만 당장 큰 폭으로 영향을 준 건 아니고요. 현장에서는 발주 지연이나 단가 협상 길어지는 게 체감되고 있어서 통계상 숫자와 체감경기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출에는 8월에도 전년동기 대비 증가추세를 띄는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5/08/21/JPSMLNY32RF3HHLDA7NW4QGZVY/

    이는 반도체와 자동차 등의 수출 증가와 연계되어 있습니다. 다만 대미수출이 줄어들었고 실제 앞으로도 대미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신시장 개척, 고부가가치 상품개발 등에 힘써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미국 관세 영향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은 관세부과전 최대한 많이 수출을 하였으며 특히 10%-> 15% 변경에 따라 그전에도 최대한 많은 물량을 수출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는 초과 수요를 커버한 상태이며 이러한 재고들이 소진되기 전까지는 우리나라에 대한 오더가 다소 소강상태일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