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달러 현상이 국내주식시장의 주요 업종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근 달러의 강세가 심상치 않은거 같아요.
강달러는 수출업종에 유리하다고 들었는데 수입 비용 증가로 특정 업종에는 불리할 수도 있겠네요?
주요 업종별로 간단하게 어떤 영향이 미칠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강달러 현상이 국내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강달러가 되면 수출하는 기업에는 유리하지만
반대로 수입을 하는 기업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며
동시에 내수 기반 산업들도 물가가 올라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강달러는 국내 주식시장의 업종별로 상반된 영향을 미칩니다. 수출 중심의 업종, 특히 반도체, 자동차, 조선업 등은 강달러로 인해 해외 매출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원화 가치가 낮아지면서 외화 수익이 더 큰 원화 가치로 환산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원자재나 부품을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는 업종에는 부담이 커집니다. 예를 들어, 화학, 정유, 항공업 등은 강달러로 인해 수입 원가가 상승해 비용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항공업은 연료비가 달러로 결제되므로 유가와 더불어 비용 압박이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소비재 업종 역시 환율 상승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면 원가가 반영된 제품 가격 인상 가능성이 있어 내수 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강달러 현상으로 인하여 현재
지나치게 높기에 원자재 수입 단가가 올라가
수출에 유리할 수도 있으나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제품생산 비용이 너무 올라가 불리할 여지도 상당하니
참고하세요.
일단 강달러로 수출기업은 보통 좋다고 하는데
원자재 비중이 많은 업종은 안좋을수있습니다.
석유화학업종 같은경우 원자재가 거의 100프로 수입이고,
생산품의 일부가 수출이라 오히려 손실이 큽니다.
나머지 반도체, 가전, 자동차, 조선 등은 대체적으로 수익성이 개선됩니다.
항공운수 쪽도 에너지를 많이 써서 안좋습니다.
수출업종인 반도체, 자동차, 화학 등은 달러 강세로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어 수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입업종인 항공, 해운, 식품 등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입 비용이 증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금융업종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원화 약세를 우려해 자금을 이탈시킬 수 가능성이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IT 업종은 미국 기업의 실적 개선으로 경쟁이 심화되어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강달러 현상은 국내 수출기업에겐 호재이지만, 수입기업에겐 악재입니다.
업종별로는 아무래도 반도체, AI, 자동차 산업에 유리하고, 주요수입재인 원유, 석탄 등의 업종은 불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