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수요일
수요일

정부가 재정적자를 낸다고 하면 우리경제

정부가 재정적자를낸다고 하면 우리경제는 어떤영향을

받게되나요?그리고 재정적자는 어떤상황일때 일어날수가

있는일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정부는 간단하게 세금이라는 수입과 정부 지출이 있습니다

    • 즉 적자가 발생하는 경우는 세금보다 사용량이 높을 때 나타납니다.

    • 즉 재정적자 발생했다는 것은 이를 메꾸기 위해서 정부가 채권을 발행하여

      정부의 부채를 더 키우게 됩니다

    • 우리경제에는 앞으로 더 많은 세금을 떼어간다는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2개년 동안 재정 적자가 있었습니다 거두지를 못 했다고 하기도 하고요 법인세 깎아 준 것도 부자 감세 때문이라는 부분으로 다른 대안 없이 부자 편만 들었다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그래서 고등학교 무상 교육이나 의료비 지원 즉 약자들에 대한 지원이 많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재정적자는 내는 것은 정부의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우리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부 지출 증가는 총 수요를 증가시켜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경기 침체 시에는 정부 재정 지출 확대를 통해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정 적자를 통해 사회 복지 프로그램 확충, 교육 지원 확대, 의료 서비스 개선 등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 전체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정 적자가 지속되면 국가 부채가 증가합니다. 과도한 국가 부채는 국가 신용도를 하락시키고, 금리 상승을 유발하여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정부 지출 증가는 총 수요 증가를 유발하여 물가 상승, 즉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의 재정적자는 국가 부채 증가로 이어지고, 장기적으로는 국가 신용도 하락과 금리 인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미래 세대에게 재정 부담을 떠넘기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부작용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세입보다 세출이 많으면 재정적자가 발생합니다 좀 더 간단하게 들어오는 세금보다 나라에서 정책 상 나가는 돈이 더 많으면 재정적자가 발생하는거죠

    그래서 나라에서는 국고채권을 발행해서 재정적자를 충당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기획재경부 산하 국고국에서 매주 국고채권 입찰을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고 요즘은 한달에 보통 15조 전후로 국고채권을 발행해서 재정부족 분을 충당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재정적자는 정부 지출이 세수보다 많을때 발생합니다.

    경제에 경기부양 효과를 주지만, 장기적으로 국채 증가와 인플레이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