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전반 내 차단기의 정격 용량 선정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배전반 내 차단기의 정격 용량의 선정 기준이 궁금한데요 주로 고려해야하는 기준과 부하와 단락 전류를 기반으로 한 계산방법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차단기 정격 용량을 결정할 때는 부하전류, 잔락전류, 정격전압 등을 고려하여 결정을 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차단기는 부하 전류를 견딜 수 있어야 하면 일반적으로는 최대 부하 전류ㅂ의 125% 정도로 고려하시면 되됩니다.
부하전류를 계산하려면 먼저 총 부하 용량을 알아야 하며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I(전류) = P(용량) / V(전압)
만약 부하용량이 5kw, 전압이 220V라면 I= 5000 / 220 으로 대략 22.7A 정도로 계산이 되며,
여기에 1.25배 여유를 두면 30A 차단기를 선택 하시면 적절 합니다.
3상인 경우네는 루트3, 그리고 역률을 전압에 곱해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배전반 내 차단기의 정격 용량을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기준은 부하의 총 용량과 예상 단락 전류입니다. 부하의 총 용량을 계산한 후, 이를 바탕으로 차단기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전류를 정해야 합니다. 차단기는 일반적으로 부하 전류의 125%에서 150% 사이로 선정합니다. 또한, 예상 단락 전류는 배전반 위치에서 계산할 수 있는데, 이는 배전반까지의 선로 임피던스와 공급 전압 등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이 값이 차단기의 최대 차단 용량보다 작아야 안전합니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 회로 계통도의 분석과 계산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배전반 내 차단기의 정격 용량은 주로 부하 용량, 예상 단락 전류, 전압 등급,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선정됩니다. 부하 용량을 기반으로 차단기의 정격 전류(전류 용량)를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총 부하 전류의 1.25배 이상을 선택합니다. 단락 전류는 예상되는 최대 단락 전류보다 높은 차단 용량을 가진 차단기를 사용해야 하며, 이를 계산할 때는 전력계통의 임피던스를 활용한 단락 전류 산정이 필요합니다. 최종적으로 표준 규격(KS, IEC 등)과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차단기를 선정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
우선 차단기 정격용량 선정 기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선정기준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것은 부하전류 입니다. 부하의 최대 전류를 고려하고 여유율을 반영하여서 선정합니다.
부하전류기반으로 차단기를 선정할때 식은 3상 380v기준으로 p(부하용량)/루트3 x 역률 입니다. 그리고 여유율을 1.25 곱하면 차단기 정격용량 선정을 할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50kw 부하용량을 사용하고 저식에 대입하면 125a차단기를 선정해야하며 당연히 125a에 맞는 전선굵기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단락전류 기반으로 선정을 하게 된다면 만약 단락전류가 선정 되시면 그보다 그 이상의 정격차단용량을 가진 배선용차단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