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음식냄새만으로도 식욕억제나 포만감을 느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논문이나 여러실험을 통해서 사람이 단순히 음식냄새를 맡더라도 포만감을 느끼게 되고 이로인해 식욕억제효과도 있다고 하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뇌와 호르몬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뇌의 시상하부는 식욕, 포만감, 호르몬 분비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음식 냄새가 코를 통해 전달되면 시상하부는 섭취와 관련된 신경 전달 물질을 분비합니다.
분비되는 호르몬에는 레프틴이 있는데, 이 호르몬은 포만감을 유발하는 호르몬입니다. 레프틴은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어 혈액을 타고 시상하부로 이동합니다. 시상하부는 레프틴 수치를 감지하여 식욕을 감소시키고 포만감을 증가시킵니다.
그리고 그렐린이라는 호르몬도 있는데요, 이 호르몬은 공복감을 유발하는 호르몬입니다. 그렐린은 위에서 분비되어 혈액을 타고 시상하부로 이동합니다. 시상하부는 그렐린 수치를 감지하여 식욕을 증가시키고 공복감을 유발합니다.
음식 냄새는 미각과 후각을 자극하여 뇌에 전달됩니다. 뇌는 이러한 정보를 처리하여 식욕을 억제하거나 포만감을 느끼도록 합니다. 특히, 매운 음식이나 쓴 음식은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음식의 맛과 냄새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냄새를 맡으면 뇌는 맛을 예측하고, 이로 인해 입안에 침이 고이는 등의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는 뇌가 이미 음식을 섭취했다고 생각하게 하여 포만감을 느끼게 합니다. 또한 뇌와 긴밀하게 연결된 후각에 있습니다. 후각 수용체가 감지한 정보는 둘레계통(대뇌겉질과 시상하부 사이의 경계 부위에 위치한 뇌 구조물)에 전달되는데, 이곳은 감정, 기억, 호르몬 분비 등에 관여하며 이때, 특정 냄새가 포만감을 나타내는 기관인 후각 구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로 인해 뇌는 몸 전체에 호르몬을 방출해 식사를 중단하라는 신호를 보내며 식욕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음식냄새를 맡으면 포만감을 느끼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단, 뇌는 음식냄새를 감지하고 관련된 기억을 활성화시켜 식욕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음식냄새를 맡으면 소화 과정이 시작되고 먹는 행위 자체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음식냄새는 뇌의 식욕 조절 센터를 자극하여 포만감을 느끼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식욕이 억제되고 과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냄새가 뇌의 활력 및 보상 중추를 자극하여 기분을 좋게 만들어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뇌는 음식냄새를 감지하면서 식욕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렙틴과 그렐린의 분비를 조절합니다. 음식냄새를 맡으면 뇌가 신호를 받아 식욕을 억제하거나 포만감을 느끼도록 조절됩니다. 또한, 음식냄새는 기억과 연관되어 있어서 과거에 먹은 음식이나 좋은 기억이 떠오르면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메커니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음식냄새가 식욕억제나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음식 냄새만으로도 포만감을 느끼고 식욕이 억제되는 현상은 인체의 복잡한 신경-내분비 시스템과 관련이 있습니다. 음식 냄새를 맡으면 후각 신경을 통해 뇌의 시상하부와 변연계가 자극되어 식욕 관련 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됩니다. 이 과정에서 그렐린(식욕 증진 호르몬) 수치가 감소하고, 렙틴이나 PYY(포만감 호르몬) 같은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냄새로 인한 기대감이 위장에서 소화액 분비를 유도하여 일시적인 포만감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진화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음식을 직접 섭취하기 전에 신체가 미리 준비하고 에너지 섭취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단, 이 효과의 강도와 지속 시간은 개인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음식냄새가 식욕억제나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우리의 뇌는 냄새를 감지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음식냄새를 맡으면 식욕을 억제하는 신호를 받게 됩니다. 이는 우리가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기 위한 본능적인 반응입니다.
그리고 음식냄새는 우리의 기억과 감정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릴 때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서 느꼈던 행복한 기억이나 감정이 음식냄새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냄새를 맡으면 그 기억과 감정이 떠오르게 됩니다. 이는 우리가 음식을 먹지 않아도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음식냄새는 우리의 신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음식냄새를 맡으면 우리의 탄수화물 대사가 증가하고 이는 우리의 식욕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음식냄새는 우리의 소화기관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우리의 식욕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음식냄새는 우리의 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음식냄새를 맡으면 우리의 뇌에서는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인 레프틴을 분비하게 됩니다. 이는 우리의 식욕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들을 고려하면 음식냄새가 우리의 식욕을 억제하는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논문이나 여러 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특정 냄새가 호르몬 방출을 저하시켜서 식욕을 떨어트린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다만, 항상 유효하다고 보기는 어려울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