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이 단선이 되었는데 어떻게 찾아내나요?
저번에 시골에서 창고에 불이 안들어와서 전기 하는 분을 모셔 왔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단선이 되었더라구요
어떻게 단선이 된지알았으며 어떻게 찾아냈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선 있는 중간중간 전기가 통하는지 벨테스트기를 이용하여 전기 흐름을 확인하여 작업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전기설비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입니다. 전선의 단선을 쉽게 찾는 방법은 저항을 이용해서 찾습니다. 저항으로는 전압에 걸리면 위험하기 때문에 차단기를 내리고 조명의 두개의 전원선을 하나로 묶습니다. 그리고 차단기에서 두개의 전원에 저항을 넣어서 저항이 0~100옴 사이로 나오지 않으면 단선이 된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선의 단선을 찾아내기 위해 먼저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전압 또는 연속성을 체크하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전원을 끈 상태에서 멀티미터로 전선의 두 끝을 측정하면 음성 또는 연속 신호가 나오지 않으면 단선이 의심됩니다. 또한, 케이블 탐지기나 인덕티브 클램프 미터를 활용하여 전류 흐름을 체크할 수도 있습니다.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경우,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어 있는지 육안으로 점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전문가가 찾은 방법도 이와 비슷한 절차를 따랐을 가능성이 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보통 단선은 전선의 양끝단의 도통테스트 즉 일반적으로 라인체크를 하면 알수 있습니다. 찾는건 육안체크로밖에는 불가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테스터기로 체크를 했을 때 전압이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는 경우에 단선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전선의 단선을 찾기 위해서는 테스터기를 이용해서 찾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 입니다.
일단 테스터기를 이용해서 전선의 두 끝단에 테스터기를 연결하고 저항값이 0 또는 삐 소리가 들리면 정상이며 저항값이 무한대 이거나 신호가 없으면 단선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전원이 흐르는 전선을 테스트 하는 경우 전압으로 놓고 전압을 측정해 보시면 대략 어느 부근에서 단선이 되었는지 찾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