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어린셰퍼드222
어린셰퍼드222
23.06.19

단시간근로자 퇴직금 계산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제기 퇴직금을 계산하려는데, 시급으로10,000원을 받고 있고, 하루에 6시간씩 평일5일을 근무하되, 평일 중에 공휴일이있으면 쉽니다.

직전 3개월간 임금총액은 3,880,000원이고,

총 근무일수는 494일 입니다.

제가 하루6시간 근무라 단시간근로자인데, 단시간 근로지ㅣ 경우 평균임금으로 계산한 퇴직금과 통상임금으로 계산한 퇴직금은 얼마인지 알 수있을까요?

제가알기론 시급으로받을땐 시급이 통상임금이 되는걸로 알고있는데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서현 노무사blue-check
    송서현 노무사
    23.06.19

    안녕하세요. 송서현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은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귀하의 경우 퇴직 직전 3개월간 받은 임금총액이 직전 3개월간 임금총액은 3,880,000원이고, 정확한 퇴직날짜는 알 수 없으나 직전 3개월의 기간이 총 91일(30일+31일+30일)이라고 할 때, 평균임금은 42,638원(3,880,000÷91)입니다.
    그러나 평균임금액이 통상임금보다 적은 경우 그 통상임금액을 평균임금으로 하여야 하고, 귀하는 시급이 10,000원이고 1일 6시간 근무하였으므로 1일 통상임금은 60,000원입니다.

    [근로기준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8. 3. 20., 2019. 1. 15., 2020. 5. 26.>.
    6.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 근로자가 취업한 후 3개월 미만인 경우도 이에 준한다.
    ② 제1항제6호에 따라 산출된 금액이 그 근로자의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그 통상임금액을 평균임금으로 한다.
    제6조(통상임금)
    ①법과 이 영에서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所定)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급 금액, 주급 금액, 월급 금액 또는 도급 금액을 말한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통상임금) ②제1항에 따른 통상임금을 시간급 금액으로 산정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방법에 따라 산정된 금액으로 한다. <개정 2018. 6. 29.>
    1. 시간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금액
    ③제1항에 따른 통상임금을 일급 금액으로 산정할 때에는 제2항에 따른 시간급 금액에 1일의 소정근로시간 수를 곱하여 계산한다.

    [근로자 퇴직급여보장법]
    제8조(퇴직금제도의 설정 등)
    ① 퇴직금제도를 설정하려는 사용자는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퇴직 근로자에게 지급할 수 있는 제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통상임금액이 평균임금액을 상회하므로 퇴직금은 계속근로 1년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30일분 이상을 지급받아야 하고, 494일 재직한 경우의 금액을 계산하면

    60,000*30*(494/365)=2,436,164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단시간 근로자와 통상 근로자의 퇴직금 산정방법은 다르지 않습니다. 퇴직금 산정은 포털에서 '퇴직금 계산기'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시급제 근로자의 일 통상임금은 시급*일 근로시간으로 산정하면 되고 위 경우 6만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평균임금 기준으로는 약 175만원 산출되고

    통상임금으로는 243만원 산출됩니다.

    혹시 3개월 임금총액이 세후 기준이실까요? 금액 차이가 너무 나는데

    참고로 퇴직금은 세전 금액으로 급여 산정하므로 평균임금도 세전으로 알려주셔야 합니다.

    답변 도움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퇴사일 전 3개월 기간 동안 지급된 임금총액이 3,880,000원이고 총일수가 92일이라면 평균임금은 약 42,174원이며, 통상임금은 30/5×10,000= 60,000원입니다. 따라서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적으므로 퇴직금은 "60,000원×30일×494일÷365일= 약 2,436,164원(세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