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2

조선 전기의 왕들이 숭유 억불 정책을 펼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역사 중에서 고려가 망하고 조선을 건국되면서 조선 건국 초기의 왕들이 숭유 억불 정책을 많이 펼치게 되었는데 이 정책을 펼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유교를 숭배하고, 불교를 억제하는 숭유억불정책은 조선시대 내 큰 흐름이었다고합니다.

    조선 건국은 신흥무인세력과 신진사대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런데 신진사대부는 고려말 지방에서 성리학을 공부하던 성리학자들이였으며, 유교사상을 따랐습니다. 또 이성계는 조선건국 이후 고려의 그늘에서 벗어나고자 유교정치이념을 내세워서 중앙 집권적 정치체제를 이룩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했습니다.

    그리고 고려시대 정치적 세력은 문벌귀족(권문세족)이 잡고 있는데 이 문벌귀족(호족)이 내새우는 종교가 교종이라고합니다. 그러다 보니 점차 사원의 세력이 커졌고 사원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 토지가 어마어마해졌지요.

    따라서 고려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내세우려했답니다.


  • 조유성 전문가blue-check
    조유성 전문가23.04.02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그 이유는 사실상 조선 자체가 '신진 사대부'를 중심으로 건국된 나라였기에 이들 자체가 '성리학'을 근간으로 삼는 세력이었으므로 그럴 수밖에 없었으며, 고려라는 국가에서 숭배되었던 불교를 배척함으로써 새 왕조 창건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한 것도 있을 것입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전기 왕들이 숭유 억불 정책을 실시한 이유는 대체로 국가 재정의 타당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숭유 억불 정책은 세금을 징수하고, 나라에서 필요한 물건을 생산하고, 이를 국가에 판매하여 수익을 얻는 시스템으로, 조선 시대에는 이를 통해 국가 재정을 유지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였습니다. 또한, 이 정책은 국가의 자금이 부족할 때 민생을 위해 적극적으로 시행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 정책이 민생에 부담을 주기도 했습니다. 세금 징수는 농민들의 생산 활동을 제한하고, 수익 창출을 위한 제조업도 불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이 정책은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대책이었지만, 민생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습니다.


    또한, 이 정책은 일부 부류에게는 혜택을 주었지만, 일반적인 민중에게는 혜택이 미미하거나 없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숭유 억불 정책은 조선 시대 말기부터 비판을 받기 시작하였고, 이후에는 대신 인조의 새로운 경제정책인 향군 정책으로 대체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말에는 삼국 시대 부터 전통 신앙으로 자리 잡은 불교가 그 자체가 타락해서 백성들과 유학자들에게 외면을 당하게 됩니다. 고려말에는 정도전 등 신진사대부와 역성 혁명에 방해가 되는 고려인 문무(文武)벌 귀족들을 제거 하기 위해서 불교를 탄압 하고 대신 유교사상을 건국의 기념이념으로 삼기 시작 합니다. 새로운 국가가 탄생 할때는 그에 맞는 정신적 지주가 있어야 했기에 불교를 멀리 하고 유교를 신봉하게 된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숭유억불정책은 불교 교단의 세력을 강제로 축소시키고 약하게 유지하기를 목적으로 하는 조선의 주요 국가시책입니다.

    삼국시대 때 불교가 들어온 후 조선이 건국될때까지 불교는 약 1천년간 국교의 위치에 서서 정교유착관계가 깊었고 지배계층이 불교의 교리에 자신을 끼워 맞추어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려했기 때문입니다.

    고려 초기부터 불교는 귀족이나 지배층과 연계되어 막강한 교세를 누리고 고려 말기 사찰이 광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소작민들을 부렸다는 기록이 있고 승려들이 권력을 부리거나 재산을 축적하여 고리대금업을 일삼는 일이 많았으며 고려초기때부터 불교의 폐단을 막으려던 지눌, 의천등의 노력에도 불교는 세력이 강해졌습니다. 그래서 신진사대부는 성리학을 주장하고 불교를 억제하며 불교계가 소유한 재산을 축소하려고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정도전의 영향력이 컸습니다. 정도전은

    불씨잡변이라고 하여 불교를 억누르려고 했고

    불교가 타락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조선을 성리학의

    나라 유교의 나라로 만드는것이 그의 구상이었습니다. 때문에 조선 초기는 불교를 억누르고 유교를 숭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