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의료 보험

강직한잠자리52
강직한잠자리52

2025년 부터 의료. 도수치료 실비 청구 제한 되나요?

2025년 부터 도수치료 시 실비청부 불가능하나요?

2025년 부터 체외충격파 치료 실비청구 불가능하나요?

실비 세대에 따라 다르게 적용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2025년부터 도수치료와 체외충격파 치료의 실손보험 청구 제한 여부는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과잉 청구 방지를 위해 신규 판매 실손 보험에 일부 제한이 논의 중입니다.

    기존 가입자는 기존 조건이 유지되며 세대별 실손보험에 따라 적용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금융당국 발표를 참고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 커뮤니티 지식 파트너사 시그널플래너입니다.


    비급여.실손보험 제도개선 방안은 논의를 거쳐 12월 확정 및 발표될 예정입니다.
    요 쟁점은 급여 의료행위에 비급여 행위나 치료재료 등을 함께 제공할 경우 일부 비중증
    진료에 대해서 보험금 청구 제한을 두겠다는거라서 아직 확정된 내용은 없습니다.

    영업전화가 없는 채팅 보험상담앱, 시그널플래너에서 답변드렸습니다.~!

    시그널플래너 배너
  •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3대비급여 중 비급여 도수치료.체외충격파.증식치료는 연 350만원.50회로 제한되어 있으며 도수치료는 10회 후 치료효과 있을 시만 10회씩 연장할 수 있습니다.(3.4세대)

    1.2세대실손도 3대비급여 과다청구시 엄격하게 심사하고 있어 장기간 치료시 보험금수령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2025년 부터 도수치료 시 실비청부 불가능하나요?

    2025년 부터 체외충격파 치료 실비청구 불가능하나요?

    실비 세대에 따라 다르게 적용인가요?

    : 이에 대해서는 2025년 실손보험이 변경된 5세대 실손이 출시된다는 이야기로 나온 것으로,

    금융당국에서는 아직 이를 검토하지는 않았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더불어, 기존에 가입한 보험이라면 2025년 설령 5세대 실손보험이 출시된다하여도 기존 가입한 보험이 적용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는 않고, 변경된 실손보험가입자에 한한 이야기 입니다.

    다만, 위와 같이 금융당국에서는 아직 이에 대해 검토하지 않았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세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지만 도수치료 체외충격파는 적용됩니다.

    유병자용으로 가입한 사람은 보장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도수치료를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그것은 향후 판매되는 실손의료비에서 적용될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지금도 실비에서는 비급여 치료인 도수치료 체외충격파치료는 보험사에서 과잉치료의 소지가 있으면 보상을 제한합니다 잎으로도 꼭 필요한 치료목적으로만 보상하겠다는 것입니다 사실 도수치료를 받아서 호전이 있으면 치료목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습관적으로 그냥 하는건 치료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정부에서 본인부담금에 따른 실비청구가 많아지다보니 보험회사들의 부담금이 많아지다 보니 실비 청구에 있어서 급여보상의 경우에도 그 정도가 많으면 비급여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네요. 보험은 다수의 위험부담을 안고 있는 구성원이 납입해서 그 돈을 가지고 위험 생긴 구성원에게 지급하는 원리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병원에 많이 가서 많이 타가게 된다면 병원을 가지 않는 사람은 형평성에 어긋나게 됩니다. 그래서 보험에서는 실비를 많이 타간 보험수급인은 다음 회기에 보험료를 할증해서 올리고 실비보험을 그 회기에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험료를 낮추는 제도를 두고 있습니다. 다만 그럼에도 실비보험에 따른 적자에 허덕이는 보험사들이 생겨서 정부에서 손을 본다고 하겠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밑에 기사를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169356.html#c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