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자유로운쌍봉낙타113
자유로운쌍봉낙타11323.02.17

대한민국 최초의 성당은 어디인가요?

우리나라의 여러지역에는 유명한 성당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최초로 지어진 성당은 어디인가요? 어느지역에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동성당은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지어진 대규모의 고딕 양식의 천주교 성당이자. 한국 최초의 본당(사제가 상주하며 사목하는 성당)이다. 1977년 11월 22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58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로 조선 천주교의 시작은 북경에서 세례를 받은 이승훈이 1784년 봄에 서울 명례방(현 명동)에 있는 통역관 김범우의 집에서 신앙모임인 '명례방공동체'를 결성함으로 이승훈, 정약용 3형제, 권일신 형제 등이 이벽을 지도자로 삼아 종교집회를 가짐으로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가 창립되었다.

    1882년 한미수호조약의 체결로 종교의 자유를 얻게 될 것을 예견한 제7대 교구장 블랑 주교가 '김가밀로'라는 한국인 전교회장 명의로 대지매입 작업을 시작하였다. 매입과 건축에 따른 재정지원은 파리선교회가 하였다. 현재의 명동성당 자리는 침계 윤정현의 저택이 있었는데 바깥채만도 60칸이 넘는 넓은 집이어서 처음에는 한옥 그대로 교회를 이용하였다. 블랑 주교는 이 곳에다 종현서당을 설립, 운영하면서 예비 신학생을 양성하는 한편 성당 건립을 추진하여 한불수호통상 조약(1886년)을 체결한 이듬해인 1887년(고종 24) 5월, 대지를 마저 구입하여 그해 겨울부터 언덕을 깎아 작업을 시작했다. 성당 건설은 조선 사회에 큰 물의를 일으켰다. 이로 인하여 한동안 성당 건설은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 1892년 8월 5일 기공식을 하고 2대 주임으로 부임한 두세 신부가 성당 설계와 공사의 지휘 감독을 코스트 신부로 지정한 후 진행되다가 1898년 5월 29일 조선 교구장 뮈텔 주교의 집전으로 역사적인 축성식을 가졌다.

    해방 이후에 1945년 명동성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80년대에는 민주화 운동에 관련된 수배자나 시위대가 전두환 군사 독재정권의 탄압을 피해 명동성단으로 모여들음으로 민주화 운동의 성지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울 중구 약현성당(사적 제252호)은 인천 답동성당보다 4년, 종현성당(현 명동성당)보다 5년 앞서 건축된 국내 최초의 근대식 성당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약현성당>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개항기 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벽돌조의 고딕 성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