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방병은 그냥 휴식 취하는게 답인가요?
여름철이라 더워서 에어컨을 너무 많이 쐬었는지 냉방병에 걸려서 몸에 힘이 없고 속이 안좋습니다. 이처럼 냉방병은 그냥 휴식 취하는게 답인가요?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올려주신 내용은 잘 읽어보았습니다. 여름철로 에어컨을 많이 쐬신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같이 햇빛이 강하게 내리쬐는 날씨에는 밖에서 짧은 시간만 걸어다리더라도 온몸에서 땀이 나고 금방 지치기 쉽습니다. 실내에 들어오더라도 에어컨이나 선풍기가 없으면 금방 후덥지근해져서 쉬어도 쉬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실내에서도 시원한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트는 것이 필요하며, 에어컨을 오래 틀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차가운 에어컨 바람을 오랫동안 직접적으로 몸에 닿으면 냉방병에 걸리기 쉽습니다. 실외는 온도가 높은데 실내는 온도가 낮는 등 실내외 온도 차이가 클 경우, 인체에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작용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전반적인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냉방병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피로감, 무기력감, 근육통, 두통, 울렁거림, 구토, 소화 불량, 복통, 설사, 기침, 인후통, 콧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에어컨 바람을 오래 틀면 실내 습도가 낮아지기 쉬워 호흡기 증상을 악화시키기 쉽습니다. 에어컨을 틀 때는 바람이 직접적으로 몸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며 간접적으로 방을 선선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회복될 때까지는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보다는 소화에 도움이 되는 부드러운 음식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습도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도록 실내 습도를 5~6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실내외 온도 차이는 5~7도 정도로 유지하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냉방병으로부터 빠르게 회복되는 것은 휴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므로 너무 무리하지 마시고 미지근한 물을 수시로 드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푹 쉬는 것이 중요하며, 만약 증상이 며칠이 지나도 그대로이거나 심해지는 경우, 발열과 같은 특이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근처 병원에 꼭 내원하셔서 적절한 진료를 받고 필요한 조치를 받아서 도움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가볍다면 며칠 쉬는 것으로 회복될 수 있지만 도움이 필요할 땐 빠르게 도움을 받는 것이 후유증 없이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궁금한 내용에 조금이라도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무더운 여름이 곧 끝나가는데 건강을 잘 유지하시길 바라며, 증상이 빠르게 호전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냉방 환경에서 장시간 머물 경우, 외부와 실내의 온도 차이가 커서 신체가 적응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동반되는 증상을 냉방병이라고 하며 이러한 환경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해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줄 정도라면 병원을 방문하여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냉방병의 예방을 위해 실내 온도와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거나 체온 유지를 위해 얇은 옷을 준비할 것을 권합니다.
냉방병은 정식 의학 질병이 아니며 그렇기 때문에 구체적인 의료적 치료 방법이 없습니다. 냉방기기에 노출이 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감기와 유사한 증상들을 놓고 냉방병이라고 부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냉방병은 그것을 유발하는 냉방기기에 대한 노출을 차단해주는 것이 해결책이 되겠습니다. 이야기 하신 것처럼 휴식을 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