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에 투자했다가 오히려 손해를 봤는데 이거 왜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미국국채권에 투자를 했는데 오히려 손해를 봤습니다. 분명 수익률이 4%정도로 나쁘지 않았는데 왜 만기가 가까워지니 -수익률이 된걸까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채에 투자하였으나 손해가 발생했다면 이는 금리의 변동 때문일 수 있습니다.
만일 시장 금리가 상승했다면 만기 전 매도 시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미국 국채의 경우도 채권이긴 하지만 채권시장에서의 수요-공급에 따라 그 가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수익이 날 수도 있지만 손실이 날 수도 있습니다. 단, 만기까지 보유하게 되면 원리금을 적어도 떼이지는 않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 수익률이 4%라도 시장 금리가 더 오르면 기존 채권 가격은 떨어져요.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가격은 원금에 수렴하지만, 그 과정에서도 금리 변동이 크면 손실이 날 수 있어요.
특히 중간에 팔려고 하면, 시세 하락으로 마이너스 수익률이 나타날 수 있어요.
결국 금리 상승기엔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해야 원금+이자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어요.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환헷지를 안하신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현재 환율이 1364원 정도로 높았을때보다 100원이상 하락한 상황입니다
미국채를 직접 매수해서 환헷지를 안했다면 환차손으로 수익률 4프로보다 더 났을 확률이 높거든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채는 만기에 약정된 원금과 이자를 받는 상품입니다.
만기가 가까워짐에 따라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되었다는 것은 환율이 하락했기 때문에
원화기준으로는 마이너스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달러 기준이라면 만기시 오히려 손해를 보긴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채는 국채가격이 있습니다 최근에 금리가 상승하면서 미국채가격이 떨어지면 수익이 떨어진것입니다
다만 미국채는 만기가 되면 만기상환장부금액으로 상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부금액은 동일하니 만기까지 보유하실거면 이부분만 신경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도 손실을 볼 수 있고, 가장 안전하다고 부르는 미국 국채도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상하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금리가 기존 보유 채권보다 높아지게 되어 기존 채권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연준이 금리 인상을 보이고 있지 않아서 손해를 볼 가능성은 없는데, 화면을 공유해줄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