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자산관리서비스 프라이빗뱅킹(PB)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터넷 뱅킹 관련 서비스를 찾아 보던 중에, 자산관리서비스 프라이빗 뱅킹(PB)라는 것이 있던데,

이건 뭐하는 건가요??

은행에서 자산을 관리해주는 서비스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 증권회사 등의 금융기관들이 거액의 자산가들을 상대로 제공하는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를 말한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프라이빗 뱅킹(PB)은 고소득층 및 고액 자산가를 위한 특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개인화된 금융 관리, 투자, 세금 최적화, 상속 계획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프라이빗 뱅킹은 일반적으로 대출이나 투자 상품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야 하는 일반 소비자와는 달리, 높은 재산을 소유한 고객들의 특별한 요구와 필요에 맞춰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성장시킬 수 있으며, 금융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프라이빗뱅킹이란 은행· 증권회사 등의 금융기관들이 거액의 자산가들을 상대로 제공하는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rivate Banking은 은행에서 거액 예금자를 상대로 고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컨설팅을 해주는 금융 포트폴리오 전문가. 시중은행들은 부자들이 밀집한 서울 강남 등지에 PB들이 영업하는 점포를 운영하거나, 아예 별도의 PB센터를 운영하기도 한다.

    출처:매일경제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프라이빗 뱅킹은 종전의 자산관리(asset management)의 차원을 넘어서 부의 관리(wealth management)를 담당하는 금융서비스의 일종입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를 실시함에 따라 종합과세 대상이 될 사람들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라 할 수 있습니다.

    "프라이빗 뱅킹" 은 1977년 미국의 씨티은행 에서 최초로 사용한 용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 씨티은행이 국내 최초로 고소득층을 겨냥한 프라이빗 뱅킹(PB)을 시작하였습니다. 국내 금융권에서는 1994년 하나은행이 VIP 프로그램을 도입한 후 여러 해 동안 큰 주목을 받지는 못하다가, IMF 이후 금융권이 재편되면서 프라이빗 뱅킹은 은행과 증권사들이 가장 주목하고 있는 수익 모델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에서 고액자산가의 재무설계와 투자상담을 직접 담당하는 것을 바로 PB(프라이빗 뱅크)라고 합니다. 질문자님의 말씀처럼 은행의 자산관리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프라이빗뱅킹은 주로 고액자산가들의 자산을 종합적으로 관리해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프라이빗뱅킹은 맞춤형 자산관리 솔루션, 전문적 투자컨설팅, 법률컨설팅, 세무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별로 고액자산가를 대상으로 하는 PB 사업 부문이 있습니다. 가령, 10억원~수천억원까지 현금을 가진 자산가의 경우 은행 PB를 통해서 자신들의 자산을 고객 성향에 맞게 자산 운영을 해주고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주기도 합니다.

    더불어 자녀 유학이나 상속 또는 증여 같은 서비스까지 무료로 해주는 경우가 있고 별도의 PB 센터 내 라운지 등을 운영하며 자산가끼리 커뮤니티 조성도 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관리서비스 프라이빗뱅킹(PB)은 고객의 대규모 자산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금융 서비스입니다. PB는 일반 개인 고객보다 높은 자산을 보유한 고객을 대상으로 제공되며, 주로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