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단세포나 바이러스등이 편모가 왜 있는것인가요

단세포나 바이러스등에는 꼬리같은 편모가 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이 편모가 왜 있으며 무슨 특징을 갖고 있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단세포 생물이나 바이러스에게 편모는 생존에 필수적인 기관입니다.

    편모가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가장 먼저 움직임을 위한 수단입니다.

    즉 편모를 움직여 몸 전체를 이동하는 것입니다.

    또한 편모는 단순한 운동 기관을 넘어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각 기관의 역할도 합니다. 즉, 먹이나 포식자, 동족 등에서 나오는 화학적 신호를 감지하여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단세포 생물과 바이러스에게 편모는 생존과 번식을 위한 필수적인 기관입니다. 편모를 통해 주변 환경을 확인하고 움직일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편모는 단세포 생물이나 바이러스가 아닌, 주로 원생생물이나 세균에서 발견되는 구조로, 세포의 운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편모는 긴 섬유 모양의 구조로, 세포가 수영하듯이 움직일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편모를 가진 원생생물인 유글레나나 일부 세균은 편모를 사용하여 물속에서 이동하며, 이를 통해 먹이를 찾거나 환경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세포가 아니기 때문에 편모를 가지지 않으며, 숙주 세포에 침투하여 복제하는 방식으로 생존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편모는 단세포 생물이나 일부 세균, 그리고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에서 볼 수 있는 긴 구조물로, 주로 운동을 위해 사용됩니다. 

     편모는 세포가 수영하듯이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편모는 회전하거나 위아래로 흔들리며 세포를 전진시키거나 방향을 바꿀 수 있게 합니다.

    편모는 일반적으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막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특히 편모는 미세소관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세포의 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편모(flagellum)'란 생물의 세포표면으로부터의 돌기물로 형성된 운동성이 있는 세포기관으로, 원생동물의 편모충류의 운동 및 포식기관이며 세균이나 각종 식물의 유주자 및 동물의 정자운동 기관의 역할을 하는데, 각각 중축부를 축사가 뚫고 그것을 둘러싸는 원형질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편모는 기본적으로 세포가 수용액 환경에서 헤엄쳐 움직일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화학물질이나 온도와 같은 주변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각기관이기도 합니다. 원핵생물의 경우 대장균은 여러 개의 편모가 세포 전체에 골고루 분포하며 편모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고, 헬리코박터는 여러개의 편모를 이용하여 끈끈한 위 점막을 통과하여 위상피 세포에 도달, 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진핵생물의 생식세포인 정자는 한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이 편모의 운동성으로 암컷의 생식기 안을 따라 움직여 갈 수 있습니다.

  • 단세포 생물과 일부 바이러스의 편모는 주로 이동을 위해 존재합니다. 편모는 회전하거나 물결 모양으로 움직이며, 이 움직임을 통해 생물이 액체 환경에서 이동할 수 있게 돕습니다. 또한, 편모는 감각 기능을 통해 주변 환경을 탐지하거나 신호를 받아들이는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일단 편모는 세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이며 주로 운동성과 연관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