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방구는나가서
방구는나가서
22.07.22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바뀐 이유가 뭔가요?

제가 국민학교 4학년으로 올라갈때 초등학교로 바뀌었는데요.

무슨 이유 때문에 바뀐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파랑새11
    파랑새11
    22.07.22


    어릴때에는 '국민'학교로만 알았는데 황국신민(일 천황의 백성의 뜻으로) 이는 일제강정기인 1930년대 일제가 우리나라의 민족성을 말살하기 위해 황국신민서사를 외우게 한데서 비롯하여 일제잔재를 청산하는 계기가 될것이라고 강조하여 1996년3월1일자로 " (황)국(신)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변경했다고 합니다.

    아직도 일제의 잔재는 많은것 같습니다.

    반장은 회장으로

    훈화는 말씀으로

    공람은 돌려봄으로

    견습은 수습으로

    납골당은 봉안당으로 바꾸기도 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7.22

    안녕하세요. 메타스터디입니다.

    국민학교가 일본식 명칭이기 때문에

    1995년 초등학교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국민학교가 일본식 명칭이 아니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국민학교라는 용어는 국권상실기 이전인 1904년 8월 11일자 대한매일신보에도 이미

    사용한 적이 있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귀한벌잡이173입니다.996년 당시 김영삼대통령이역사바로세우기 일제잔재청산을 명령하며 총독부건물 부수는것 하나에 그쳤죠.... 아무튼 이때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바뀌었습니다.... 국민학교역시 황국신민학교의준말로 일제잔재용어이죠.... 당연히 바뀌어야될것이였는데...

  • 안녕하세요. 남다른염소265입니다.

    초등 중등 고등이 맞겠죠. 국민학교는 원래 일제가 사용하던 표기입니다.

    진작에 바뀌었어야 했던 것이죠.

    일제 잔제는 뿌리 뽑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탁월한동고비138입니다.

    국민학교는 원래 일제 강점기 시절에 황국신민학교를 줄여서 국민학교라고 부르고는 했습니다

    이것이 우리나라 정서에 맞지 않다고 해서 김영삼 정부 때 초등학교라고 명칭을 변경하곤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람한동고비149입니다.

    국민학교는 일제시대강점기때 생긴이름이라서

    한귝식으로 초등학교라고 바뀐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