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무궁화는 어쩌다가 국화가됬나요??

꽃들도 종류가 엄청나게많은데 한국의 국화는 무궁화잖아요?? 무궁화가 국화가된 이유는뭔가요?? 언제부터 정해진거죠?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영악한복어295
      영악한복어295

      안녕하세요. 영악한복어295입니다.


      나무위키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법으로 규정 된 국화는 없다고 합니다


      옛날에는 아침에 피어 저녁에 지는 꽃(朝開暮落花, 조개모락화)으로 여겨 조근(朝槿)이라 하였으며, 단명을 상징하는 꽃으로도 여겨졌다. 일례로 연산군이 총애하던 후궁 여원 안씨가 죽자 비통해 하며 글을 짓게 하였는데 이때도 단명(短命)을 뜻하는 조근(朝槿)을 글에 사용했다. 반면 근현대[1]에 들어서는 "피고 지고 또 피어 무궁화라 한다"며 오히려 질긴 생명력과 민족 저항정신을 상징하는 근거로 삼고 있다. 꽃 하나만 볼 것이냐, 관목 전체를 볼 것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관점인데 현대에는 후자의 의미가 훨씬 강하다.


      대한민국의 국화라고 흔히들 여기고 있지만, 사실 대한민국에서 명백히 '법으로 규정된' 국화는 없다. 그렇더라도 각종 상징물에서 무궁화를 자주 사용하기도 하고[2] 관습법적으로 국화라고 인정받는 편. 인도-중국 서남부가 원산지이나 오래 전부터 만주와 한반도 전역에서 폭넓게 분포하며 예로부터 민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재배하였다. 고대에는 신성시 하던 식물로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신단 주위에서도 많이 심었다.


      색이 은은하고 꽃이 오래가서 '민족의 기상을 닮았다'고 일컫는다. 전통적으로 백성과 가까운 꽃이었으며 대한민국에서 무궁화가 국화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 데에도 이러한 배경이 작용했다

    • 안녕하세요. 철저한친칠라221입니다.

      이웃 나라에서 우리나라를 무궁화의 나라로 불렀고 우리 스스로 우리나라를 근화향(槿花鄕)·근원(槿原)·근역(槿域)이라 함으로써 국민들의 마음에 무궁화가 나라를 상징하는 꽃이라고 생각했던 시기를 국화로 자리잡은 시기로 본다면 그 시기는 아주 옛날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좀더 본격적으로 무궁화가 국화로 등장하여 거론되기 시작한 시기는 구한말 개화기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궁화가 국화(國花)로 된 경위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2004. 3. 10., 이상희)

    • 안녕하세요. 의로운재규어270입니다. 사실 우리나라는 국화가 지정되어있지않습니다 국화로 지정하게되면 관리해야할 부분이 많게되어 낭비하는 부분이 있어서요 통상 국화로 인식하고 있는거랍니다~

    • 안녕하세요. YNRC입니다.

      뚜렷한 법령 규정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무궁화는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에 있었으며 우리 겨레의 민족성을 나타내는 꽃으로 인식되면서 나라꽃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