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착한아이컴플렉스는 어떻게 고쳐주는게 좋은가요?

착한아이 컴플렉스가 있어서 그런지 사소한걸 혼내거나 지적해주면 굉장히 좌절하고 상처받습니다. 윽박지러거나화내지 않고 차분하게 이야기해도 조금 크면 괜찮아지겠지 싶어도 상황이 좋아지는게 별로 없네요. 어떤 교육이 필요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착한아이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아이에게 감정표현을 이끌어주는 것이 중요한데요.

    여러가지 감정들은 살아가는데 필수적이고 나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마음을 불편하게 할 수 있는 감정들에 대해 알려주고, 어떤 상황에서는 불편함 감정들을 느끼는 것이 필요하다고 알려주세요.

    그리고 감정들에 대해 아이가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좋게 말하면 착한 아이 이지만 다르게 말하면 아이의 주관이 없고 자신감이 없다고 이야기 할수 있어요

    가정의 분위기가 강압적이거나 무서운 부모님인 경우 아이가 주눅이 들어 자신감이 떨어 지는 경우도 있어요

    하지만 타고난 기질이 내성적인 아이인 경우 매사에 적극성이 떨어 지는 아이도 있습니다

    우선 아이가 자신감을 회복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가정에서 아이에게 칭찬을 통해 아이의 기를 살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가정에서 아이가 부모 부터 인정을 받고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아이도 자신감을 회복 하고

    다른 아이에게 적극적으로 행동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주고 자존감과 자신감을 향상시켜줘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칭찬도 착하네 잘했어 등의 애매모호한 칭찬보다 구체적행위에 대한 칭찬, 결과보다 노력에 초점을 둔 칭찬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런 기질을 가진 아이는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려는 압박감으로 인해 사소한 지적에도 상당한 좌절이나 상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아이에게는 정서적 안정과 긍정적인 자아 이미지를 심어주는 교육이 중요합니다. 첫 번째로,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는 것이 필요한데요. 아이가 상처받았을 때, 그 감정을 무시하지 않고 “네가 그런 기분이 드는구나”라고 공감해 주며, 그 감정이 정당하다는 것을 알려주세요. 이렇게 감정을 인정받는 경험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자아 존중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두 번째로, 실수를 통해 배우는 경험을 강조하세요. 아이가 실수했을 때, 그 실수를 지적하기보다는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는 거야. 다음에는 이렇게 해보면 좋을 것 같아"와 같이 긍정적인 피드백을 해주시고, 실패가 성장의 일부분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세 번째로, 아이에게 도전할 기회를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새로운 경험을 통해 실패를 경험하고 극복하는 과정을 겪게 되면, 자신감과 회복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런 기회를 통해 아이가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착한아이컴플렉스가 있다면 아이 자존감을 높여주는게 좋습니다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주시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착한 아이 콤플렉스"란 타인으로부터 착한 아이라는 평가를 받기 위해 내면의 욕구나 소망을 억압하면서 지나치게 노력하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타인의 눈치를 보거나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나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모님과 자녀 간의 소통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부모님께서는 자녀가 느끼는 감정과 생각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가져야 하며, 자녀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자녀와의 대화를 통해 그들의 생각과 느낌을 듣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입니다.자기 주장 훈련은 자신의 권리와 욕구를 인식하고 그것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프로그램입니다.부모님이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상대방의 감정도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자녀가 자연스럽게 그러한 행동을 배울 수 있도록 합니다.

    위의 방법들을 실천하면 자녀가 "착한 아이 콤플렉스"로부터 벗어나 건강한 자아상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단기적인 해결책이 아니며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부모님과 함께 협력하여 꾸준히 노력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작은 실수에도 큰 좌절을 느낀다면 우선 감정을 공감하고 이해해 주세요

    실수를 자연스럽게 받아 들이도록 해주세요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고, 실수를 통해 성장할 수 있음을 이야기 해주세요

    위인전의 이야기나 부모님의 경험담을 이야기 해주셔도 좋습니다.

    부모님도 언제나 실수를 할 수 있고, 그것도 수용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