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근무만 지속적으로 오래 할 경우 암에 걸릴 수 있나요?
근무 여건상 야간 시간에만 근무해야 하는 근로자입니다. 야간 급여 등의 이유로 주간 근무로 전환되고 싶지 않은데, 어디서 야간 근무가 암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말을 들어서요. 설마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사실이라면 야간 근무만 하는 것도 걱정이에요.
야간 근무를 하게 되면서 밤낮이 뒤바퀴는 생활을 하는 것은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인자가 맞습니다. 야간 근무를 하는 분들은 그렇지 않은 분들 보다 암의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당뇨, 심장질환, 수면장애, 대사질환, 뇌졸중 등의 위험성도 높이기 때문에 야간 근무는 건강을 생각했을 때에는 매우 좋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야간 근무를 하게 되면 수면의 질이 떨어집니다. 불면이 지속되는 경우 암, 심장뇌혈관 질환, 비만, 우울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실제 야간 근무(교대 근무)가 잦은 의료인들의 경우(여성) 유방암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야간 근무를 지속적으로 하게되면 고혈압을 비롯하여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야간근무자에게는 특수검진을 통해 더 자주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야간근무와 암발생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야간근무는 수면의 질 저하나 피로와 같은 정신사회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 및 일부 암의 발생을 높인다고 보고됐다. 또한, 2019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야간근무를 발암추정 요인(2A군)으로 분류한 바 있다.
안녕하세요. 이근수 의사입니다.
밤낮이 바뀌는 근무 자체가 WHO에서 발암의 효과가 있다고 공표했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주세요. 답변 달아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야갼근무는 2급 발암물질에 해당합니다.
야간근무는 수면의 질 저하나 피로와 같은 정신사회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 및 일부 암의 발생을 높인다고 보고됐다. 또한, 2019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야간근무를 발암추정 요인(2A군)으로 분류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