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자유로운풍뎅이41
자유로운풍뎅이4122.10.26

한국사 관련해서 좌익과 우익이 궁금합니다.

한국사 관련 자료를 보던중에 조선공산당, 한국민주당 해서 많이 나오던데요.

조선공산당을 좌익세력 한국민주당을 우익세력이라고 지칭하던데 좌익이 머고 우익이 뭔데

공산당을 좌익 민주당을 우익이라고 지칭하는건지요?

그렇다면 그당시에 공산당을 지칭하는사람들을 쉽게말해서 좌익 이라하고 민주당 지지하는사람들을 우익이라고

그냥 지칭한것 뿐인가요?

왜 공산당은 좌익이었고 민주당은 우익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는 질문자님 처럼 이점에서 의구심을 가짐니다.

    일단 좌익과 우익의 어원은 19세기 프랑스의 국회에서 강경파는 좌측 온건파는 우측에 앉아 서로의 뜻을 펼치려 한것에서 비롯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강경파는 좌익 온건파는 우익으로 칭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죄익은 강성들을 뜻합니다.

    죄익세력이라고 많이 합니다.

    그런데 우익세력들 이라고는 잘 안합니다.

    대부분 침묵하는 보수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북한 공산당들을 좌익 용공세력

    민주주의는 우익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고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좌익과 우익은 나라에 따라 또 시대상황에 따라 상대적인 개념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사회주의 경향이강한 정치집단을 좌익, 자본주의 경향이 강햐 정치집단을 우익이라고 합니다.

    광복 후 우리나라는 좌익세력이 훨씬 강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우익세력의 대부분은 친일의 길로 들어서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한 반면 일제시대 내내 독립운동이나, 노동자, 농민의 편에서 노동운동, 농민운동을 해온 측이 좌익세력이었기 때문입니다. 광복후 좌익은 조선노동당 남로당 쪽이 대표적이고 우익으로는 김구와 이승만이 있었으며 극우세력으로 송진우, 김성수 등의 한국민주당이 있었습니다. 한국민주당의 대부분은 일제시대 친일의 대가로 부와 명예를 거진 집단이었는데 지주와 자본가, 관료 등이 주축이었지요. 이들은 친일에서 친미로 재빨리 태세전환을 하고 이승만과 손을 잡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주축이 되어 친일파 청산이 어려워졌던 과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사 처음부터 공산주의는 좌익이고 민주주의는 우익을 불렀지요 좌익은 평등을 추구하고 사회계급과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려는 정치적 입장으로 우익과 대립하는 개념입니다. 사회주의와 생태주의 공산주의 평등주의 급진주의 등이 대표적인 좌익 사상입니다 이와 반대로 민주주의는 우익으로 불렸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좌익과 우익을 설명하면

    예를 들어 현재 북한 옹호하고 사회주의 추구 한다면 좌익이고, 현재 대한민국을 옹호하고 자본주의를 추구 한다면 우익 이라생각하면 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좌익과 우익은 1789년 프랑스혁명 당시 루이 16세 지배시기에 왕의 왼쪽엔 자코뱅당(급진개혁파) 오른쪽엔 지롱드당(보수온건파)에서 유래한 것으로 좌파우파로도 불립니다. 해방을 전후해서 우리나라에는 5명의 지도자가 있었습니다. 극좌세력인 박헌영 중도좌파 여운형 중도세력인 김규식 중도우파 김구 극우세력 이승만 등입니다. 민족주의자들인 여운형 김규식 김구선생 등 3분은 암살을 당하셨고 소련 공산당의 지원을 받은 극좌세력 박헌영(6.25남침실패를 구실로 김일성 등에게 숙청당함)과 미국 국방부의 지원을 받은 극우세력 이승만만 남게된 것이 극심한 좌우대결의 출발점입니다. 결국 소련의 지원하의 김일성을 앞세워 북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고 남한은 미국의 지원아래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어 분단국가가 되었고 이념적으로 남북뿐만 아니라 남(좌익:진보)남(우익:보수)갈등의 뿌리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