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재빠른들소8
재빠른들소823.08.01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대주주 의 기준이 어떻게 되는 지요?

안녕하세요,, 언론에 심심찮게 등장하는 대주주란 단어를 보면 한 회사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분들 같은데 그 대주주가 되기 위한 기준이 무엇이고,, 대주주가 되면

불리한 것들이 무엇인지 문의 드립니다. 수고하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시장법에서 적용되는 대주주의 요건은 주식시장에서는 개별 기업 보통주식 총 수의 5% 이상을 보유하여 금융감독원에 공시 대상인 자를 대주주라고 합니다.

    대주주는 최대주주와 주요주주로 나누며 최대주주는 기업의 의결권(주식)을 가장 많이 소유한 자이며, 주요주주는 의결권(주식)을 10% 이상 소유자, 임원 중 다른 법인을 영위하지 않고 의결권 있는 주식을 5% 이상 소유한 자, 임원주 다른 법인을 영위하고 의결권 있는 주식을 1% 이상 소유자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주주 요건은 국내 상장 종목 주식 보유액 10억원 이상 혹은 코스피 1% 이상, 코스닥 2% 이상, 코넥스 4%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주주와 같은 경우 특정 회사의 지분율이 1%(유가증권시장 기준)를

    넘거나 평가금액 기준 10억원 이상 주식을 보유한 사람을 말합니다.

    대주주는 한국주식에 대하여 양도소득세를 납부하는 불리함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주주 기준은 세법, 자본시장법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2022년 8월부터 세법 상의 대주주 기준은 '고액주주’로 명칭이 바뀌고, 종목당 보유 주식 평가액이 100억원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지분율 기준은 사라지고, 가족지분은 합산하지 않습니다.

    대주주 양도소득세의 세율은 양도차익에 따라 20%에서 33%까지로 높은 과세율이 부과되며, 이 부문이 불리해지는 점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주주의 경우는 지분율이 1%가 넘거나, 주식의 평가금액이 10억 이상 매수한 경우 대주주로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회사의 주식을 의결권 있는 보통주를 50%+1주를 가지고 있으면 무조건 대주주 자격을 갖습니다.

    그러나 지배구조가 분산 되어 있을 경우 가장 많은 지분을 가지고 있거나 가족 등 특수관계자들이 다수의 지분을 가지고 있으면 대주주 자격을 가지게 됩니다. 대주주의 기준은 지분율도 중요하지만 경영 상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의 경우도 대주주 자격을 얻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주주 요건은 국내 상장 종목 주식 보유액 10억원 이상 혹은 코스피 1% 이상, 코스닥 2% 이상, 코넥스 4% 이상이다. 최대 주주가 아닌 주주의 경우 배우자, 부모ㆍ자식 등 특수관계인 지분을 합쳐 대주주 여부를 판정하는 기타 주주 합산 규정은 올해부터 폐지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의 대주주요건은 대주주가 상장회사의 주식을 10% 이상 보유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대주주요건을 회피하기 위해 주식을 매도하는 경우, 양도소득세를 피할 수 있는지 여부는 국세청의 해석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대주주는 회사의 지배적인 지위를 가진 주주로서 다른 주주들에 비해 주요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주주를 말합니다. 주식 대주주의 기준은 국가 및 관련 법률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1. 지분 소유 비율: 일반적으로 회사의 주식 지분 소유량이 특정 비율 이상인 경우 대주주로 간주됩니다. 이 비율은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국가에서는 10% 이상의 지분을 소유한 경우 대주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2. 투표 권한: 일부 국가에서는 대주주는 회사의 투표권을 주요하게 행사하는 주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 결정에 대한 투표권을 통제하여 대주주가 회사의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3. 경영 관리: 대주주는 종종 회사의 경영에 관여하고, 중요한 의사 결정에 개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주주가 회사의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대주주의 기준은 회사의 지배구조에서 최상위 지위에 있는 주주를 가리킵니다. 일반적으로 대주주는 특정 회사의 주식 소유 비율이 높은 개인, 기업, 또는 기관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대주주는 해당 회사의 지배력을 행사하거나 중요한 의사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다른 주주들보다 더 많은 투표권과 경영권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대주주는 회사의 방향성과 경영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대주주와 소액주주들 간의 이해관계 및 이해권 보호 등이 중요한 사안으로 떠오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