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약정서가 전세보증보험인가요?
전세 살다가 다음세입자분 구하고 있는데 보증보험 가입되냐고 질문이 와서 제가 계약할때 주택금융공사에서 신용보증을 받고 보증료를 내고 입주했었더라구요. 그래서 신용보증약성서가 있는데 이게 보증보험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보증약정서는 전세보증보험과는 성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신용보증약정서는 주택금융공사나 보증기관이 세입자의 신용을 평가해 보증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계약을 체결할 때 사용되는 서류입니다. 이는 세입자의 신용을 기반으로 보증 역할을 하지만, 전세보증보험과는 구체적인 보장 범위와 가입 목적이 다릅니다.
전세보증보험은 세입자가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할 상황에 대비해 보험사가 대신 보장하는 상품입니다. 일반적으로 세입자가 보험료를 지불하고 가입하며, 집주인의 계약 불이행 시 보증기관이 전세금을 대신 지급하는 구조입니다. 반면, 신용보증약정서는 주택 임대계약 시 세입자의 신용을 보증하는 서류로, 보증보험과는 보증 대상과 목적이 차이가 있습니다.
해당 서류가 보증보험인지 확인하려면 약정서에 명시된 보증 내용과 목적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세보증보험은 보통 전세금 반환 보장을 목적으로 하고, 보증서에 보험기간과 금액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를 확인해 보증보험 여부를 확실히 파악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보증기관에 직접 문의해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분들이 전세 계약 관련 용어 때문에 혼란스러워하시죠.
주택금융공사의 신용보증약정서는 보증보험과는 약간 다른 개념입니다. 신용보증은 세입자의 신용을 기반으로 임대차 계약 보증을 지원하는 방식이고, 보증보험은 세입자나 집주인의 채무 불이행 시 보험사가 보증금을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 여부는 보통 '보증금 반환 보장' 목적으로 사용되니 약정서만으로는 해당 기능이 충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요.
먼저 보증보험 가입 여부를 주택금융공사나 보험사(예: HUG, SGI 등)에 확인해 보세요. 추가 가입이 필요하다면 해당 기관에서 바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