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3.21

여성의 권위가 언제 낮아진 건가요?

전세계의 역사를 보면 모든 나라들이 남성 위주의 사회 속 분위기에서 역사가 흘러갔는데요, 여성의 권위가 높았던 시기는 없었나요? 있었다면 언제부터 여성의 권위가 낮아진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렵이나 자연식물을 채취하던 시절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씨족원이 노동에 종사하여 남자와 여자 차별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부족사회로 발전하면서 여성의 지혜와 손을 빌렸던 농업은 점차 큰 규모로 발전하여 배수, 관계 시설이 필요하게 되었고 끊임없는 토지의 개척과 경작을 통해 부를 늘려가에 따라 강한 체력을 통해 부를 늘려 감에 남자들의 노동력을 더 필요로 하게 되어 힘이 약한 여성은 농업 생산의 주역에서 밀려나며 성차별이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나라 고대 사회의 경우 부인에게 정절을 요구, 투기 및 간음한 여인에게 극형을 내리고 남편에게 종속되어 가정에 감금되다시피 살았고 가족의 재산을 늘리고 재산을 상속, 유지케 할 자녀를 낳고 기르는 것이 삶의 전부가 되었고 공적인 일에 관여할수 없으며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할수없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기원전은 서양에서 사용되는 연대 표시 방법 중 하나로, 성탄절을 기준으로 전후의 연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기원전은 성탄절을 중심으로 기원전 1년부터 시작되며, 이전의 연도는 기원전 1년, 2년, 3년, ...으로 표기됩니다. 예를 들어, "기원전 476년"은 성탄절 전 476년을 의미하고, "기원후 476년"은 성탄절 후 476년을 의미합니다. 기원전은 서양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성의 인권은 점진적으로 나아지는 것이지 원래 좋았던 적은 없습니다. 여성 인권의 가장 대표적인 권리인 참정권의 첫 시작은 뉴질랜드였습니다. 뉴질랜드는 1893년 세계 최초로 여성에게 선거에 참여 할 수 있는 참정권을 부여합니다. 이어 제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서유럽 대부분 국가들은 여성 참정권을 법적으로 인정하기 시작합니다. 캐나다(1918년), 미국(1920년) 등의 국가들이 그 뒤를 이어 여성의 참정권을 제도화 했지요. 대한민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무렵인 1919년 초창기부터 임시 헌장에 남녀평등을 표방해 여성의 참정권을 보장했으며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여성 참정권을 전면적으로 보장했습니다. 우리나라도 여성 참정권이 인정 된 것은 약 100여년 밖에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성의 권위가 언제 낮아졌는지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중세 유럽에서 여성의 권위가 낮아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세 유럽에서는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지위를 가지지 못했습니다. 여성은 남성보다 권리와 자유가 제한되었으며, 사회적 지위도 높지 않았습니다. 여성은 결혼을 통해 남성의 소유물이 되는 것으로 여겨졌고, 남성에게 복종해야 했습니다.

    또한 중세 유럽에서는 여성이 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여성은 주로 가사일이나 수녀로 살아야 했으며, 의료나 법률 등의 분야에서는 여성 의사나 변호사가 거의 없었습니다.

    이러한 여성의 권위가 높아지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부터였습니다. 여성들은 교육을 받고, 선거권과 권리를 요구하는 여성 인권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여성들은 점차적으로 권리와 자유를 얻어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