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서 액면가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보통주액면가가 어떤 기업은 5000원인 경우가 있고 어디는 500원인 경우도 있는데요. 액면가를 산출하는 방식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가는 특별히 산출하는 공식이 있는 것은 아니고, 회사 설립 과정에서 자본금을 계산하는 기준이기 때문에 회사에서 정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주 액면가는 기업이 주식을 처음 발행할 때 정하는 일종의 기준 금액으로, 법적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액면가는 기업의 자본금 산정 기준이 되지만, 실제 주가나 기업 가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어떤 기업은 500원, 어떤 기업은 5000원처럼 설정하는 이유는 기업의 자본 구조나 전략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액면가는 기업이 처음 주식을 나눌 때 정한 단위일 뿐, 시장에서의 가치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액면가는 주식이 처음 발행될때 정해진 명목상의 가격입니다. 시장가격과는 차이가 있으며 주식 액면가는 처음 회사가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5000원인 경우는 처음 5000원으로 발행했기 때문에 그렇게 결정되는 것이지요.
실제 주식시장에서의 가치와 액면가 가치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액면가는 회사가 주식을 발행할 때 정하는 1주당 금액입니다. 액면가는 회사의 정관에 명시되며, 주식의 발행 가격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액면가는 회사의 자본금을 계산하는 기준이 되며, 주식 분할이나 합병 시에도 사용됩니다. 액면가는 회사가 설립될 때 또는 주식을 새로 발행할 때 결정됩니다. 액면가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산출 방식은 없으며, 회사의 재무 상태, 업종,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대한민국 상법에서는 액면가를 100원 이상으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5000원을 액면가로 정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100월, 500원 등 다양한 액면가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액면가는 주식 분할이나 합병 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5000원짜리 액면가를 가진 주식을 10:1로 분할하여 액면가는 500원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주 액면가는 기업이 주식을 발행 시 설정하는 최소 가격 입니다. 쉽게 말해 주식의 최초 본질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가격입니다. 보통 액면가는 기업의 자본금을 기준으로 산출되고 있으며 자본금/발행 주식 수로 계산 되어지죠.
이에 액면가는 기업의 상장 여부나 시장내에서의 거래 가격과는 별개의 개념으로서 어떻게 보면 주식 발행과 관련된 법적인 기준에 영향을 미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액면가는 주식회사 설립시 정관에서 액면가 100원이상으로 상법에서 정해지는 구조하에서 그냥 정하면 됩니다. 특별히 기준이 없으며 상법기준하에서 알아서 정하면 됩니다.
상법에서는 100원이상이면 되며 보통 국내 주식회사들은 100원, 200원, 500원, 1000원, 2500원, 5000원에서 정하는 구조이며 보통 상장 주식회사의 대다수는 5000원으로 액면가를 정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가는 공식적인 산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고 법적 최소 한도만 넘기면 기업이 자율적으로 정할수 있는 것입니다. 100원 이상이면 허용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에서 액면가는 어떻게 정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법인 설립 시 정관에 기재가 되고
주식이 발행되면서 졍해지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액면가, 그거 회사 처음 만들 때 발기인들이 정하는 겁니다. 그냥 막 정하는 건 아니고, 법에서 정한 최소 금액도 있고, 회사의 전체적인 자본 규모 같은 것도 따져서 결정하죠.
일단 법적인 기준부터 말씀드리면, 우리나라에서는 주식 액면가가 최소 100원은 넘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액면가에다가 발행하는 주식 수를 곱하면 회사의 자본금이 되는 거죠. 그러니까 회사의 덩치를 보여주는 기본적인 숫자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회사 만들 때 어떻게 정하느냐. 예를 들어서, 회사가 초기 자본금을 100억으로 잡았다고 칩시다. 그리고 주식을 1억 주 발행하기로 했다면, 단순하게 계산해서 액면가를 주당 100원으로 맞출 수 있는 거죠. 물론 이게 딱 정해진 공식은 아니고, 여러 가지를 고려해서 결정합니다.
실질적으로 뭘 보느냐 하면요,
일단 투자 유치가 중요하죠. 투자자들이 보기에 매력적인 가격으로 맞춰야 투자를 잘 받을 수 있으니까요. 너무 비싸거나 싸도 좀 그렇거든요.
나중에 주식 거래를 얼마나 쉽게 할 수 있을지도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중에 액면분할 같은 걸 해서 주식 수를 늘리고, 거래를 더 활발하게 만들 수도 있는 거죠. 예를 들어 액면가가 너무 높으면, 일반 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까요.
스톡옵션 줄 때도 액면가가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회사 임직원들한테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건데, 이때 액면가를 고려해서 가격을 정하거든요.
액면가가 한번 정해지면 못 바꾸냐? 그건 아닙니다. 주주총회에서 특별하게 결의만 하면 바꿀 수 있어요. 흔히 하는 게 액면분할인데, 예를 들어 액면가가 5천 원짜리 주식을 500원으로 쪼개면 주식 수는 10배로 늘어나고, 주가는 그만큼 낮아지겠죠. 이렇게 하면 거래량이 늘어나는 효과도 있고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액면가는 법도 지켜야 하고, 회사의 자본 구조나 앞으로 어떻게 투자받고 주식 거래를 활발하게 할 건지 같은 여러 가지 계획들을 다 따져서 신중하게 결정하는 겁니다. 회사 처음 시작할 때 아주 중요한 결정 중 하나라고 보시면 돼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액면가는 주식 발행회사가 결정하게 됩니다. 말씀 대로 주당 액면가가 5,000원이 있고 100원 짜리 액면가 주식도 있습니다. 주식 발생 시 해당 주식의 가치에 따라 액면가를 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1주당 시장 가격이 4~5만원 선이면 액면가를 주당 5천원으로 해도 문제가 없는데 주당 시장 가격이 1~2천원이면 액면가를 500원이나 100원으로 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계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액면가 주당 5천원의 주식을 1주당 5만원에 매각한 경우
차변) 현금 50,000원
대변) 보통주 자본금 5,000원, 자본잉여금 45,000원 > 보통주 자본금과 자본 잉여금은 모두 자본 계정입니다.
2) 액면가 주당 500원의 주식을 1주당 2천원에 매각한 경우
차변) 현금 2,000원
대변) 보통주 자본금 500원, 자본잉여금 1,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