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앞 길고양이 만지고 살짝 물렸는데 괜찮을까요?
학교 앞 길고양이 만지고 손 살짝 물렸는데 붓거나 하진 않았는데 괜찮을까요? 손도 사정상 몇시간 뒤에 씻고 했는데 ㅠㅠ 어떻게 해야할까요? 파상풍 주사를 맞아야까요?
지금 물린 지 거의 12시간 지났어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교상의 경우에는 병원에서 필요한 조치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광견병 파상풍 감염등 여러가지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고양이에게 물린 상처는 세균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해요. 흔히 파스퇴렐라, 스태필로코커스 등의 세균에 의한 연조직 감염이 발생할 수 있고, 개에 비해 심각한 감염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답니다. 고양이 물림 사고 발생 시에는 최대한 빨리 비누와 흐르는 물에 상처를 깨끗이 씻어내는 것이 중요해요. 최소 5분 이상 깨끗이 세척하되, 너무 심하게 문지르면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해요. 사고 발생 후 12시간이 경과했다고 해도 지금이라도 상처를 깨끗이 씻어주시고, 소독약(베타딘, 알코올 등)으로 소독해주시는 게 좋겠어요. 길고양이에 물렸다면 狂犬病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어요. 광견병은 발병하면 치명적이므로 접종 여부가 불분명한 동물에 물렸을 때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파상풍은 개, 고양이 교상보다는 깊고 오염된 상처에서 감염 위험성이 높습니다. 물린 상처가 깊지 않고 파상풍 예방접종을 받은 지 5년이 지나지 않았다면 추가 접종은 필요치 않을 거예요.
상처 부위에 통증, 발적, 부종, 화농 등의 감염 징후가 있거나 전신 증상(발열, 피로감 등)이 나타난다면 응급실이나 외과 진료를 받으셔야 해요. 심부 감염이나 패혈증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답니다. 고양이 물림은 봉합하지 않고 개방성 상처로 두는 것이 원칙이에요. 상처가 깊고 출혈이 많다면 응급실에서 상처를 깨끗이 하고 느슨하게 봉합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 처방 여부는 상처 상태를 직접 봐야 결정할 수 있어요. 전신 감염의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경구용 항생제를 복용하게 될 거예요. 길고양이 물림은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랍니다. 반나절 지났다고 해도 감염과 광견병 노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처하시는 게 안전해요. 불안하시다면 꼭 병원을 내원하셔서 전문의 진찰을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언제나 동물을 조심스레 다루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해요. 야생동물이나 생소한 동물과 접촉 시에는 물림 사고 위험을 염두에 두시고, 개인 위생에도 신경 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