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견실한시라소니109
견실한시라소니10923.10.29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의 가격이 올라가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금리가 내려가면은 채권의 가격이 올라간다고 하는데요

왜 금리가 내려가는데 채권의 가격이 올라가는지 궁금해요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기존에 발행된 채권의 이자율이 더 높고

    새롭게 발행하는 채권의 이자율은 내려가기에

    기존의 발행된 채권에 메리트가 생겨서 채권의 가격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채권은 만기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미리 정해져 있는 상품입니다.

    • 따라서 현재 채권의 표면가격과 표면 금리가 아무리 변동하여도 결국 받는 돈은 동일합니다.

    • 다만 중간에 금리가 변동함에 따라 채권거래시 가격이 바뀌게 되는데 금리가 오르게 되면 오른 만큼

      채권의 가격이 떨어져 만기에 받는 금액이 맞춰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채권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 가격이 상승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하락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존에 발행되었던 고금리 채권의 경우에는 시장에서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서 기존의 액면가에 대비해서 높은 가격으로 시장에서 거래가 되요.

    예를 들어서 3%짜리 채권이 있었는데 금리가 2%로 내려가면서 이 채권을 구입하려는 이는 100원이 아니라 101원을 내더라도 1%의 금리 차이로 이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100원짜리 액면가의 채권을 101원에 구입하게 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금리가 내려가게 되면 기발행 채권은 상대적으로 매력적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 이유는 새롭게 발행되는 채권은 상대적으로 저금리로 발행되기 때문에 그런 것이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매력적으로 보이게 된 기발행 채권의 가격은 올라가게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하락 시 채권 가치 상승: 반대로, 기준 금리가 하락하면 기존 채권의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기존 채권의 가치가 상승합니다. 이는 채권 투자자들이 현재 가치 있는 높은 이자율의 채권을 보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를 들어 2022년 1월에 채권 1000만원, 10년만기, 3%금리(이자)로 투자(수익 3백만원)했는데,

    2023년 10월에 동일한 채권 1000만원, 10년만기, 6% 금리로 투자(수익 6백만원)할 수 있게 됐다면,

    최초 3%의 금리를 주고 채권을 산 사람의 입장에서 현재 6%의 금리로 채권을 바꾸려 할 것입니다.

    그러나 아무도 2022년 1월에 산 채권을 사줄 사람이 없을 것입니다.

    단, 2022년 1월에 산 채권을 1000만원이 아닌 10년동안 3%로 투자함으로 손실나는 3백만원(6백만원 - 3백만원)을 채권원금에서 뺀 준다면,

    즉 2022년 1월 채권 1000만원을 700만원에도 할인해서 살 수 있다면 그 거래는 성립할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채권시장에서 이렇게 거래가 됩니다.

    즉 채권금리가 올라가면 채권가격이 떨어지는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