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25.03.15

아름답다의 어원은 어떻게 되나요??

너무 이쁜말중에 "아름답다"가 있죠. 흔히 사용하는 단어지만 갑자기 어원이 궁금합니다. 아름 무슨뜻일까요? 아름답다 어원 설명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대상이나 음향, 목소리 따위가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눈과 귀에 즐거움과 만족을 줄 만하다는 의미의 아름 답다의 어원은 몇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설득력이 있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여리고 고운 계집이라는 의미읜 아름과 자격이나 어떤 특징이 있다라는 의미인 접미사 - 답다 라는 단어가 합성되어 고운 계집 같다라는 어원이 되는 것이고 두번 째는 15세기 석보 상절에서 유래하는데 아름 답다의 아름은 '나'라는 어원이고 따라서 아름답다는 나 답다라는 이야기가 되는데 즉 남의 눈치를 안보고 자신만의 개성과 자신감을 가진 상태를 아름답다의 어원과 뜻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아름답다의 어원은 알음답다에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기서 알음은 '앎'과 관련된 말로 어떤 대상을 잘 알고 이해하는 것을 뜻하며 '-답다'는 '~다운'의 의미를 지닌 접미사입니다. 따라서 '알음답다'는 사물을 잘 알고 그것을 좋게 여길만 하다라는 뜻에서 출발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후 'ㄹ'이 탈락하면서 현재의 '아름답다'로 변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아름답다는 꽤 오래전부터 사용되던 단어이기 때문에 확실한 어원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현재 학계에는 주로 5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 첫 번째 '아름'이라는 말이 '나, 개인'이라는 뜻이었으므로, '아름답다'는 '나답다', '그 사람답다'라는 의미에서 비롯되었다는 가설

    • 두 번째 '여리고 고운 계집'의 의미인 '아름'과 '자격과 특성이 있다'의 의미인 접미사 "-답다"를 접목하여 '고운 계집 같다'라는 어원이라는 가설.

    • 세 번째 '두 팔을 둥글게 모아서 만든 둘레.'라는 의미의 '아름'과 접미사 '-답다'를 접목하여 '마치 포옹하는 듯하다'라는 뜻에서 '포옹하고 싶다'라는 의미를 가진 어원이라는 가설.

    • 네 번째 '아름'의 어원이 '앎'이며 '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정신을 반영한 가설.

    • 다섯 번째 '아ᄅᆞᆷ'이 예전 '사사로운 것'이라는 의미이기에

      '아름답다'의 의미는 '미(美)의 기준은 주관적인 것'이라는 가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