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쌈박한두꺼비81
쌈박한두꺼비8123.09.23

예금 통화승수가 작동한다는게 어떤 의미인가요?

국어 지문을 읽다 한 부분이 이해가 안 되어 여쭤봅니다ㅜ

"중앙은행이 공개 시장 조작을 통해 국채를 팔면 현금이 회수되므로 통화량이 줄어들게 되고, 국채를 사들이면 현금을 지급하므로 통화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지급된 현금이 일부라도 은행에 예금되면 은행의 지급 준비금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예금 통화승수*가 작동하므로 공개 시장 조작은 화폐의 공급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

국채를 판다는게 긴축통화정책같은건가요? 국채는 어떤 형식이나 방법으로 팔게 되나요? 또 여기서 예금 통화승수가 작동한다는 것은 무슨의미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영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국채를 판다는 것

    국채를 발행한다는 것입니다. 국가 또한 기업처럼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데요.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위해 국가 또한 자본을 조달해야 하고 이에 따라 국채를 발행해서 시장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합니다.

    물론 시장에는 이 국채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존재하구요

    즉, 시장에 존재하는 현금을 국채 발행을 통해서 정부 주머니로 가지고 오는 행위이므로 시장에는 통화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국채 또한 기업채와 마찬가지로 주간사 등을 통해 딜소싱을 하고 투자자를 모집해 채권을 발행합니다.

    2.통화승수가 작동한다는 것

    가령 질문자님이 100원을 은행에 예금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은행은 질문자님께서 예치한 100원 중 지급준비금(10%, 10원)을 제외한 나머지 90원을 제3자에게 대출을 해줍니다.

    그러면 실제 현금은 질문자님이 예치한 100원이지만

    시장에는 질문자님의 100원 + 은행이 제3자에게 대출한 90원이 융통되고 있는 중이죠

    이 경우의 통화승수는 1.9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래는 중앙은행이 본원통화를 발행하여 시중은행으로 공급하고 시중은행이 지급준비금을 제외하고 대출 등을 통해 시장으로 돈이 흘러들어가는 것인데요..어차피 메커니즘은 동일하니 위처럼 이해하셔도 무방합니다.

    위 내용을 토대로 지문을 다시 한번 읽어 보시면 좋을거 같아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채는 국가가 발행한 채권을 말합니다. 채권을 구매하기 위한 방법은 기관이 구매하여 개인투자자들에게 쪼개어 판매하는 채권을 구매하는 방법입니다. 채권은 발행처에서 판매하는 금액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개인이 전부를 구매할 수 없으며 기관이 구매하여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채권을 구매하는 직접 구매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예금 통화 승수란 은행에 예금이 들오면 그중 일부를 대출해줍니다. 또 이렇게 대출 나간 금액이 다시 예금으로 들어오면, 다시 그중 일부를 대출해주는 것을 계속 반복하게 되는데 예금으로 들어온 100원이 1000원, 2000원으로 점차 반복적으로 늘어 나는 것 입니다. 이것을 통화승수라고 하며, 통화승수가 작동 한다 혹은 높다라는 것은 시중에 돈이 계속해서 돌고 있다라는 의미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 통화승수라고 하는 것은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현금통화인 본원통화로 현금과 예금의 합인 통화량을 나눈 값이에요. 여기서 말하는 예금 통화승수가 작동한다는 것은 실제 은행에 예치되어진 자금보다 더 많은 양의 통화량 공급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승수라는 개념이 현금과 예금의 합인 통화량을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현금통화인 본원통화로 나눈 값입니다.

    국채를 파는 것은 한마디로 시중에 국채를 내놓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