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6.20

조선사회는 노비가 언제 없어졌나요

조선 사회에서는 노비는 상속이 되고 세습이 되는 그런 신분제도 였는데요 이러한 조선사회 노비세습제는 언제 폐지되고 사라지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0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노비제는

    1886년 노비 세습제 폐지(사가노비절목)를 거쳐 1894년 갑오개혁과 함께 사노비도 완전히 폐지되었다고 합니다.

    세도정치 기간 동안 반 노비정책으로 크게 줄어들며 일시적으로 사노비가 증가하기도 하였으나 개혁은 꾸준히 이루어졌습니다.

    1801년 정순왕후 김씨에 의한 66,000여명의 공노비 해방을 시작으로 1864년 궁노비가 해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01년 정순왕후 김씨에 의한 66000여명의 공노비 해방을 시작으로 1864년 궁노비 해방, 1886년 노비 세습제 폐지를 거쳐 1894년 갑오개혁과 함께 사노비는 폐지되었습니다.

    또한 188년 노비세습제를 폐지하면서 노비의 자녀들은 자동으로 양인이 되었고, 1894년 갑오개혁으로 신분제를 폐지하면서 노비제 또한 완전히 폐지되어 공식적으로 남은 노비 전원이 양민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통적인 신분 제도는 1894년 갑오개혁 당시 입법기관인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에 의해 폐지되었습니다. 이것은 길게 보면 조선 후기부터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온 거대한 신분제 폐지 운동의 흐름의 결과였으며, 직접적으로는 갑오 농민 전쟁으로 분출된 민중의 강렬한 요구에 밀려 이루어진 것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순조 때 공노비를 해방시키는 등 그런 전조 현상이 조선 후기에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노비제도는 1차 갑오개혁 때 폐지되었습니다. 그러나, 신분제가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차별은 여전히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차별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백정 신분을 중심으로 형평운동이 발생했습니다. 확실하게 차별이 사라진 것은 한국전쟁 이후부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