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8.29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빈부 격차가 심한것일까요? 경제와 관련이 있나요?

우리나라는 빈부 격차가 유독 심한 느낌이 드는데 아주 부자이거나 가난하거나 그런거 같은데 이런것도 경제와 관련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빈부격차는 비단 우리나라의 문제뿐만이 아닙니다.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향해가면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문제점이 빈부격차인데 이를 어느정도 해소하기 위해 복지정책을 펼치게 되는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도 급진적인 경제 성장에 따라 빈부격차가 과거에 비해 심해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빈부 격차의 발생 원인은 성장 위주의 경제 정책에 있다. 부유층의 재산이 사회적으로 재분배되지 못함에 따라 빈부 격차가 대물림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국가 정책은 경제 성장에 치우쳐 분배에 소홀했다. 단기간의 성장을 위해 경제 윤리를 갖추지 않은 자본가들까지 집중적으로 육성됐다.]

    드라마를 보면 수단방법을 가리지않고 경쟁상대를 괴멸시켜 위로 올라가는 사람들이 있죠

    드라마는 그들이 나중에 파멸에 이르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성장위주 경제정책은 현 국민의힘 보수우파가 하는 정책이고 광복이후 70년가까이 이루었습니다

    반대로 프롤레타리아 약자, 노동자편인 민주당은 딱 3번에 그치죠

    그나마 전정권때 최저시급을 일본수준으로 올려 세계13위 임금정도국가가 되었다고 합니다

    비교를 할 때 친일파 후손과 독립운동가 후손의 "재산"차이를 얘기하죠

    재산은 대물림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빈부 격차 수준은 다른 심각한 수준의 국가보다는 그리 크지는 않은 편이라고 해요. 다만 우리나라가 빈부격차가 발생한 것은 과거 성장기때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성장을 하다 보니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격차가 점차적으로 심화되면서 그 사회 구성원의 격차도 크게 벌어지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빈부 격차는 개인적 책임보다는 사회적 책임이 더 큽니다.

    빈부 격차의 발생 원인은 성장 위주의 경제 정책에 있습니다.

    부유층의 재산이 사회적으로 재분배되지 못함에 따라 빈부 격차가 대물림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진국들의 대표적인 문제가

    빈부격차가 심하다는 것입니다.

    스웨덴 등 일부 북유럽국가들을 제외하면

    이는 전세계가 어느정도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절대적으로는 산업화등을 겪으며 경제성장했으나, 상대적으로 고소득층에게 혜택이 집중되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회가 발전할수록 선진국에 가까울수록 빈부격차는 심해집니다. 기술과 정보의 발달에 따라 자산가와 노동자의 부의 격차가 심화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빈부 격차가 상당히 심한 편입니다. OECD 회원국 중에서도 빈부 격차가 큰 편에 속하며, 국제적으로도 빈부 격차가 큰 나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빈부 격차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인 Gini 계수를 보면, 우리나라의 Gini 계수는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Gini 계수는 0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가 공평하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1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가 불공평하다는 의미입니다. 우리나라의 Gini 계수는 약 0.35에서 0.4 사이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빈부 격차가 심한 이유는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용 시장의 불안정성, 교육 격차, 사회적 이동성의 한계, 기업의 과도한 성장과 이익 집중 등이 빈부 격차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