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의젓한두루미265
의젓한두루미265

화폐는 문명 초기에 어떻게 배포/발행하나요?

a국은 물물거래만 하는 나라라고 합시다.

a국의 왕과 신하들은 경제발전을 위해 화폐를 도입하려 합니다.

그래서 주화를 찍어내서 "이제부터 이게 돈이다~"라고하면 시민들은 그 돈을 어떻게 쓰나요?

발행할 때는 시민들이 그 주화를 갖고 있을 턱이 없는데,

화폐를 처음 도입할때 사람들에게 뿌리기라도 하나요?

아니면 국가가 물건을 시장에서 매수할 때 주화로 줘버리나요? <- 근데 이러면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나요?

궁금한 것이 많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숲새83
      되알진숲새83

      안녕하세요. 이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문명 초기에 화폐를 배포하고 발행하는 방식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1. 교환물로서의 화폐: 화폐를 처음 도입할 때, 주로 교환물로 사용되는 가치 있는 물건(예: 금, 은, 곡물 등)을 화폐로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교환물은 국가나 권력자가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2. 국가의 발행: 국가나 권력자는 화폐를 발행하여 유통시킵니다. 이 때, 처음에는 주로 국가 예비재로서의 귀금속이나 가치있는 물건을 백서화(국가 토큰)라는 형태로 발행하였습니다. 이 백서화는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수용하여 사용되었습니다.

      3. 물건 구매 시 지급: 국가나 권력자가 화폐를 발행한 후, 시민들에게 화폐를 보급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국가가 시장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화폐로 대가를 지급하고, 이를 통해 시민들에게 화폐가 보급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화폐의 발행량이 증가하여 화폐의 가치가 하락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국가나 권력자는 화폐의 발행량을 조절하거나 안정화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기도 했습니다.

      화폐의 도입과 사용은 각 시대와 국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역사와 경제학의 영역에 속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역사나 경제학과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화폐와 같은 경우 초기엔 실물 등을 받고

      화폐를 유통한다고 볼수 있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