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팔팔한파리매131
팔팔한파리매13124.01.23

약과는 약으로 먹는 과자라는 데 약과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약과는 약이 되는 과자라는 뜻으로

정월에 많이 만들어 먹었으며, 명절ㆍ잔치ㆍ제사때 많이 쓰이는 음식이었다는 데 약과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23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약과의 역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려시대에는 국교로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이의 영향으로 육식을 멀리하게 되었고, 제사상에도 어육을 올리는 것을 금했다고 하는데, 어육을 대신해서 과자를 올리게 되었고 그 때문에 과자 문화가 매우 잘 발달했습니다. 원나라에도 고려문화, 이른바 고려양이 유행하면서 약과도 그중 하나로 인기있는 과자였다고 합니다.
    공민왕 시절에는 이미 나라 상태가 영 아니다보니 약과를 비롯한 유밀과의 제조를 국가에서 금지할 때도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잔치나 제사 때나 올라가는 고급 음식의 위상을 계속 유지하다보니 흉년이 들거나 나라가 어지러울 땐 한동안 왕궁 밖에서는 만드는 것이 법으로 금지될 때가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국교로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이의 영향으로 육식을 멀리하게 되었고 제사상에도 어육을 올리는 것을 금해, 어육을 대신해 과자를 올리게 되었고 이 때문에 과자 문화가 매우 잘 발달했습니다.

    즉 고려시대 고기와 생선을 올리지 않는 불교의 제례에서 약과가 그 대체품으로 이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약밥과 같이 꿀이 들어가는 전통 음식은 '약'이라는 접두어를 붙여 이를 나타낸 경우가 많습니다.

    꿀을 넣어서 칼로리가 높아서 옛날 먹을 것이 귀하던 시대에 몸에 기운을 채워주는 일종의 약효과를 냈기에 약과라고 한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