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에서 컴플라이언스는 어떤 뜻이고 어떤경우에 쓰여지는지 궁금해요.
올해 상반기에 기업들에서 굉장히 주목받는것중 하나라고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분야가 컴플라이언스라고 들었는데요. 금융에서 말하는 컴플라이언스는 어떤 뜻이고 어떤 경우에 쓰여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영에서 컴플라이언스는 주로 준법 제도를 의미합니다.
당 회사가 얼마나 법규를 잘 준수하고 있으며, 내부 통제 등을 얼마나 잘 하고 있는지 등이 주된 관심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상 법규준수/ 준법감시/ 내부통제 동의 의미로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이란 “사업 추진 과정에서 기업이 자발적으로 관련 법규를 준수하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시스템”이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계에서 쓰이는 "컴플라이언스(Compliance)"는 법률, 규제, 규칙, 정책 등에 대한 준수를 의미합니다. 금융기관이나 금융회사는 다양한 법적 요구사항과 규제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운영합니다.
금융계에서의 컴플라이언스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법적 준수: 금융기관은 해당 국가의 금융법과 규제를 준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금융 거래의 투명성, 공정성, 소비자 보호 등과 관련된 법적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금융 규정 준수: 금융기관은 금융규정에 따라 자체적인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준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금융 거래의 안전성, 자금세탁 방지, 내부 통제 등과 관련된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업계 규범 준수: 금융기관은 해당 업계의 규범과 윤리적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금융계에서는 공정거래, 이해관계자의 이익 보호, 고객 개인정보 보호 등을 포함한 다양한 규범이 존재합니다.
내부 통제: 금융기관은 내부 통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조직 내에서의 규정 준수를 강화해야 합니다. 내부 통제는 정책, 절차, 교육 및 감사 등을 통해 조직 내의 위험을 관리하고 규정 준수를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컴플라이언스는 금융기관의 책임과 의무로서, 법적 및 규제적 요구사항을 준수하고 고객의 이익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 컴플라이언스는 법규의 준수와 더불어서 사회가 요구하는 윤리 기준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회사의 경영이나 기업활동을 투명하고 윤리적으로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자금세탁과 테러자금 거래방지가 주 목적이었다고 해요
안녕하세요. 이원복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 컴플라이언스가 먼저 시행된 미국에서는 두 가지 목적을 두고 시행하고 있는데, 바로 자금 세탁과 테러 자금 거래 방지가 그 목적입니다.
자금세탁방지(AML,Anti Money Laundry)시스템을 구성하여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제재 대상과 거래를 하는지 확인하고, 경제 무역 제재 대상인 나라·단체·개인과 불법자금 차명 거래 등으로 합법 거래를 위장했을 때 시스템적으로 걸러내고 수상하면 미국 금융 당국에 신고하는 시스템입니다.
결국 금융 컴플라이언스는 법규의 준수와 더불어 사회가 요구하는 윤리 기준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회사 경영 및 기업 활동을 투명하게 윤리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윤리경영의 성격을 지니고 수행되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큰 회계부정, 내부거래 등의 사건이 발생하면 언론에서 "준법감사 또는 감시, 내부통제시스템 구축을 위한 OO그룹 준법감사팀, OO은행 내부통제단"등의 소식이 등장합니다. 이 소식의 배경이 되는 개념이 컴플라이언스입니다
컴플라이언스는 통상 법규준수, 준법감시, 내부통제 동의 의미로 사업 추진 과정에서 기업이 자발적으로 관련 법규를 준수하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제도 및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컴플라이언스"가 "감사"의 개념과 다른 점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내부 정화 의지"를 가진다는 것입니다
금융 컴플라이언스 또한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한 것이며, 대표적인 목적으로는 내부 금융 비리 근절, 자금 세탁 방지 등이 있습니다
금융 컴플라이언스는 법규의 준수와 더불어 사회가 요구하는 윤리 기준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회사 경영 및 기업 활동을 투명하고 윤리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목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컴플라이언스(Compliance)는 금융 분야에서 법규 및 규정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융기관은 국가 또는 지역의 금융 규제 기관이 제정한 법률, 규정, 정책 등을 지키고 준수해야 합니다. 컴플라이언스는 금융기관이 이러한 규정을 준수하고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프로세스, 시스템, 정책을 구현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는 금융 기관이 안전하게 운영되고 고객 및 시장의 신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금융회사에 컴플라이언스팀이 따로 있구영 준법감시팀입니당
금융관련 법규를 회사 부서들이 잘 지키나 관리감독하는 부서입니당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에서 말하는 컴플라이언스는 고객의 자본과 금융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금융 서비스 회사가 져야 될 책임을 의미합니다 즉 개인 정보 및 고객의 자본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개인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고객의 자본을 투자할 때 주의를 해야 한다는 가장 기본적인 책임을 회사에게 지우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컴플라이언스는 통상 법규준수/ 준법감시/ 내부통제 동의 의미로
사용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컴플라이언스는 법규준수와 준법감시, 내부통제, 조직의 윤리적 책임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업의 리스크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