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4.04.20

왜 명왕성은 행성으로 인정하지 않는지?

안녕하세요? 요즘 행성에 관한 기사를 봤는데요 맨 마지막 명왕성은 행성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왜 그런건지 그 이유를 알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행성으로 인정되지 않는 이유는, 명왕성이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명왕성은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보다 크기가 작고, 공전 주기가 길며,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과는 다른 궤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명왕성은 태양계의 행성으로 인정되지 않고, 카이퍼 대에 위치한 왜소행성으로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퇴출 이유는 명왕성은 발견 직후 9번째 태양계 행성 지위를 차지했지만 행성의 자리는 채 100년도 유지되지 않았습니다. 10년 전. 세계천문학회가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하고 왜행성(일반 행성보다 왜소한 행성)으로 분류한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퇴출 이유는 명왕성이 작고 왜소하며 위성 성립이 가능한 중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 이유 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금지화목토천해명, 2000년대 초반까지 초 중 고교를 다닌 사람이라면 태양계의 행성 순서를 이렇게 외웠을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가 됐는데 태양과 같이 스스로 빛과 열을 내는 천체를 항성 또는 별이라고 합니다. 별 주위를 도는 천체는 행성이라 하고 행성주위를 도는 천체는 위성이라고 하지요. 그 외의 천체는 소행성, 왜소행성 등으로 분류합니다. 명왕성은 몇 년 전까지 태양계의 행성이었지만 지금은 왜소행성으로 정의합니다. 왜소행성이란 행성과 위성을 제외한 천체 중 행성 같아 보이지만 일반 행성보다는 작은 태양계의 외곽 전체를 말합니다.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된 것은 2006년입니다 국제천문연맹에서 결정한 것이죠 1919년 창설된 국제천문연맹은 세계 유수한 천문학자들이 모인 단체이자 천체 이름을 명명하고 정의하는 공식 기관입니다. 1990년대부터 태양계 외곽에서 작은 천체들이 많이 발견되자 국제천문연맹은 행성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2006년 국제천문연맹에서는 태양계 행성의 정의를 태양주위를 도는 둥근 천체로 봐야 한다는 의견과 태양을 도는 천체 중 일정하게 큰 궤도로 돌아야 행성으로 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섰지요.국제천문연맹에서 내린 행성의 정의는 태양주위를 돌고 다른 행성의 주위는 돌지 않아야 한다. 둥근 모양이고 내부에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지 않을만큼 질량이 크지 않아야 한다 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변에 잡동사니와 같은 천체들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명왕성은 태양주위를 돌고 둥근 모양이며 질량이 크지 않아 행성의 정의에는 부합합니다. 하지만 세 번째 기준에 걸렸는데 명왕성의 공전궤도에는 많은 얼음 덩어리 천체들이 있습니다 이에 비해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여덟 개의 천체에는 잡다한 천체들이 없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행성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된 이유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2006년에 제정한 행성의 새로운 정의 때문입니다. 행성은 주변 공간을 중력적으로 지배하는 존재여야 합니다. 즉 자신의 공전 궤도 근처에 다른 영향력 있는 천체가 존재해서는 안 됩니다. 이 정의에 따라 명왕성은 세 번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행성에서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왜소행성은 명왕성처럼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둥근 형태를 유지하지만, 주변 공간을 '청소'하지 못한 천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