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훌륭한뿔영양139
훌륭한뿔영양13922.08.13

동생이 성인인데 인형을 너무 좋아해요

동생이 뇌전증 증상이 있는 대학생입니다
남동생 입니다
동생은 대인기피증이 심해서 다른 사람한테도 말을 못하고요
밖에서 식당에 갔을때 마트에 갔을때 직원한테 말을 전혀 못하고요
약간 뭐가 모자라요
동생이 이해력도 떨어지고요
오늘도 동생 친구가 큰 인형을 4개를 더 보내줬고 어제는 또봇R 변신자동차 장난감을 보내줬습니다
또봇 변신자동차 장난감은 사용연령이 37개월이라고 했습니다
자동차에서 변신한 장난감입니다
동생은 인형극할때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하필 부모님 계실때 인형을 보내줘서 부모님도 인형 4개 왔는 걸 또는 변신자동차 갔고 논다는 걸 봤습니다
그걸 보고 어머니는 동생한테 설득을 시켰는데 소용이 없습니다
저흰 부모님은 동생한테 성인이 되서 37개월짜리 로봇 장난감 가지고 놀고 싶냐고 물어봤습니다
동생이 내년에 대학 졸업하고요
지금 동생은 방학이여서 집에 있습니다
알바도 면접을 봐도 계속 떨어지고 운동도 못하고
공부도 안하고 집에서 게임하거나 티비 보거나 놀러가요
동생이 약 부작용이 있어서 취업하기 힘들고요
동생 방이 별로 크지 않은데 방에 인형이 40개 넘게 쌓여 있어요
인형이 많다 보니 벽장문을 열지 못하고요
부모님은 인형 다 갖다가 버리라고 했는데 동생은 버리기 싫대요
동생이 인형을 버리게 하면 가만두지 않겠대요
동생은 혼자 집에서 인형으로 인형극하고 있습니다
동생은 몇년 뒤에 인형을 알아서 치운다고 했습니다
그럼 몇년 뒤가 될 때까지 방에 인형30개를 냅둔다는 소리잖아요
동생이 방학이 됐는데 게임만 하기 그렇다고 그래서 인형을 가지고 논다고 합니다
동생이 탁구랑 운동이랑 하고 싶다고 하던데 대학병원 의사선생님께서 운동하면 뇌에 무리가 간다고 절대 못하게 하고요
정신과에 한번 가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인형이나 장난감이 동생에게 어떤의미가 있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듯합니다.

    동생은 자신의 애정이나 감정의 공허함을 인형이나 장난감을 통해서 쌓았을수있습니다

    이러한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답답해 하기보다는 조금더 동생의 인형에 대해서 의미를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가능하면 정신과에서 이러한것들을 같이 상담을 받고 어려움에 대해서 같이 들어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이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일단 부모님의입장이나 질문자님이

    동생을볼때 다큰성인이 인형을모으고

    가지고논다는것이 보기에 답답할수있겠지만

    뇌전증으로인해 운동이나활동도 자유롭지못하고

    면접도 떨어지고 누구보다 스트레스받고

    답답할 동생마음도 이해해주시면서

    무조건 인형을 다 갖다버리려고하거나

    동생의 행동을 절재시키려고하기보다

    증상에 대해자세히 기록하신뒤

    전문의를찾아 심리적으로문제가있는지

    먼저 알아보시고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상담해보신뒤

    가족들이 함께도와주시는 방향으로

    나아가보시는것이좋습니다

    잘해결될꺼라고생각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 동생분이 일상생활도 어려워보이시고 의사소통도 힘드신 것으로 보입니다.

    같이 함께 설득을 하여서 병원에 가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잘 해결하시기를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심리상담사입니다.

    동생분께서 인형을 과하게 좋으한다고 하신다면

    우선 심리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고

    후에는 병원진료까지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동생분이 본인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디만 너무 과한 감이 없지 않는 것 같네요

    병원 진료를 한번 받아보도록 권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민혁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자 선생님의 보고대로 동생분께서 사회공포증과 낮은지능을 나타내신다면 현재 다양한 문제행동들을 동일한 나이 기준으로 생각하면 갈등이 지속된다고 생각합니다.


    성격장애 등의 문제가 아닌 정신과 내원하여 지적능력 및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여 현재 능력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해보시기 바랍니다


    지적능력의 부족은 회복의 문제가 아닌 교육을 통한 적응의 문제이오니 진료 후 가족들이 질병에 대한 공부도 필요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장이 심리상담사입니다.

    동생분이 아끼는 물건은 간직하게 해주세요

    특히 인형은 항상 곁에 두고 쓰다듬고 하면서

    무언의 소통을 하게 해주세요

    동생분의 소중한 가치를 인정해주는 것도

    해줘야할 역할인듯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