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활발한당나귀246
활발한당나귀246
24.07.05

미중 무역갈등의 국제 무역에 끼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미중 무역 갈등의 최근 동향은 어떠하며, 이것이 글로벌 공급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설명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박현민 관세사
    박현민 관세사
    SEOULTECH
    24.07.05
    경제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중 무역 갈등은 2018년부터 시작된 대규모 무역 분쟁으로, 글로벌 경제와 무역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은 서로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며 상호 보복 조치를 취해 기업들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고, 소비자 물가 상승을 초래했습니다. 또한, 미국은 중국 기업에 대한 기술 제한 조치를 취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 불안감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양국은 정기적으로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이나 구체적인 합의에는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무역 갈등은 글로벌 공급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관세 부과로 기업들의 생산 비용이 증가해 수익이 감소하고, 소비자 물가가 상승했습니다. 주요 무역 파트너인 미국과 중국 간의 분재은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감을 증대시키며, 기업들은 생산 지연이나 중단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미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업들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어 투자가 보류되거나 축소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글로벌 무역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져 국제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의 향후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하며, 양국 간 협상의 진전 상황에 따라 갈등이 완화되거나 심화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경제와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중 무역 갈등의 최근 동향과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중 간 패권 분쟁이 재차 격화되며 무역 분야에서 시작된 갈등이 첨단 기술, 인권, 민주주의 분야로 확장되고 있어 이를 '신냉전(New Cold War)'으로 규정하기도 합니다. 미국은 5G, AI,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중국의 부상을 강하게 경계하며, 이는 이러한 기술들이 미래의 경제군사 패권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반도체, 전기차용 배터리, 희토류, 의약품 등 4대 핵심 품목의 공급망에 대해 검토를 진행하며, 이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이에 대응해 중국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R&D 투자를 GDP의 2.4%에서 7%까지 대폭 확대할 예정이며, 전략적 광물자원 보호 및 안전 보장 강화를 위한 법률 개정을 추진 중입니다. 이러한 갈등의 심화는 글로벌 공급망에도 영향을 미쳐, 중국 기업들은 생산기지를 멕시코 등으로 이전하고 있으며, 수입선 다변화를 가속화해 기존 공급망 구조에 변화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핵심 기술과 자원의 자급화를 추진해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이 불가피해지고 있습니다. EU는 최근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48%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유럽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공급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미중 무역 갈등은 2018년부터 시작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분쟁으로, 양국 간의 관세 부과와 보복 조치를 통해 전 세계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양국 간의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양국 간의 공식적인 협상은 중단된 상태이며, 현실적인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고, 미국의 중국에 대한 보복정책 대부분은 유지되고 있으며, 추가적인 관세 부과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지적 재산권 침해 및 불공정 무역 관행 문제 해결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은 불안정해지고 있으며, 관세 부과와 보복 조치로 인해 기업들은 생산 비용 증가와 수익 감소를 겪고 있으며, 공급망 차질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고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지만, 아직 협의점이 논의되고 있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부터 이어져온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경쟁에 따라 미국과 중국은 자신들과 정치외교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국가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무역전쟁에 동참하게끔 유도를 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우리나라 또한 현 정부에서는 중국보다는 미국에 친화적인 정책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보여지며, 수출국 다변화 전략, 수입공급망 전환 등의 정책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미중무역분쟁은 현재 미국의 전기차 관세부과로 인하여 중국의 전기차 수출이 막혀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상대적으로 자신이 컨트롤할 수 있는 EU 시장쪽에 진출요청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따른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