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진이 발생 후에 왜 여진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은 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멘틀의 대류 작용으로 인해 매시간 움직이고 있으며, 판의 경계부에서 강한 마찰시 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강한 마찰 후에도 판의 계속된 이동으로 마찰이 계속 지속될 수 있으며 또 다시 강한 마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번의 마찰이 여진이 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0
0
0
제설제는 어떻게 눈을 녹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물계 제설제는 공기중 수증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강합니다. 그래서 주변으로부터 수증기를 흡수하여 수용액 상태가 되며, 이 수용액이 얼음과 닿아 얼음의 열을 뺏기도하며 얼음과 섞여 어는점을 낮추기도합니다. 어는점이 낮아지게 되면 얼어있던 얼음이 녹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염화물계 제설제를 뿌리면 눈이 금방 녹아버리게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1.10
0
0
고래는 포유류인데 어떻게 해서 바다에서 살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포유류는 새끼를 낳고, 새끼에게 젖을 통하여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동물을 의미합니다. 고래는 새끼를 낳으며 젖을 먹이기 때문에 포유류에 속합니다. 물고기는 새끼가 아닌 알을 낳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1.10
0
0
케이블카의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케이블카의 줄은 우리가 생각하는 밧줄이 아닌 쇠를 여러가닥 뭉쳐 만든 쇠로된 줄입니다. 그래서 케이블카의 무게 뿐 아니라 사람이 탑승한 케이블 카 여러대의 무게도 버텨내죠. 그래서 케이블카가 안정적이고 안전함을 유지한채 앞으로 갈 수 있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0
0
0
음식 잔반을 남기는것과 탄소배출이 무슨연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물은 부패할 때 미생물에의해 분해됩니다. 이 때 미생물이 물질을 먹고 다른 물질을 내뱉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나 메탄가스 등 다양한 가스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탄소배출과 관련이 있죠.
학문 /
화학
23.01.10
0
0
눈이 내리는 날은 평소보다 따뜻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이 내리는 날이 따뜻한 이유는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있습니다.눈이 만들어진다는 것은 수증기나 물이 가지고 있던 열을 외부로 방출하며 얼게됩니다. 이 때 방출된 열에 의해 평소보다 온도가 조금은 올라가기 때문에 눈오는 날이 따뜻한 이유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0
0
0
겨울철에는 왜 유독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습도가 낮을 수록 잘 발생합니다.우리몸에는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이 전류는 전자(-)의 이동으로 만들어지죠. 이 말은 우리 몸에 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전자가 문 손잡이, 철판, 철 등으로 이동할 때 정전기가 발생하죠.그런데 습도가 높을 때에는 정전기가 덜 발생합니다. 습도가 높으면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다는 의미이고, 또 이 물 분자는 +, - 극을 가지고 있어서 전자를 잘 끌어당겨 우리 몸을 중성으로 만들죠. 그래서 습한 여름에는 정전기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반대로 건조한 겨울에는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없고 우리 몸에는 전자(-)가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잘일어납니다.정리해서 습도로 기준잡으면 습도가 60%이상일 경우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습도가 30%이하이면 정전기가 잘 발생하죠.
학문 /
화학
23.01.09
0
0
구름은 하늘 어디까지 지점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대류권에서 존재하며 11km 밑에서 존재합니다. 11km 이상부터는 성층권으로 구름이 잘 만들어지지 않는 지점입니다. 성층권에서는 상공으로갈수록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안정적이며 대류현상이 없어 비행기의 항로로 이용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고래가 죽고나서 왜 폭발을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래와 같이 거대한 생물체의 경우 죽고나서 몸 내부에서 미생물에 의해 부패가 일어납니다. 부패시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가스가 몸에 가득 채워지면서 고래의 몸이 팽팽해지죠. 이 때 계속되는 부패로 가스가 더욱 더 생성될 수 있으며 어느 순간 터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한폭탄과 같죠.
학문 /
화학
23.01.09
0
0
최근 우리나라에 지진 발생 빈도수가 늘어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도 일본과 근접해 있으며, 일본은 판의 경계부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진은 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일본 바로 남쪽 부근에는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판, 태평양판, 북아메리카판 등 판이 만나는 경계부가 다수 존재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일본과 인접해 있고, 판의 경계부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지진이 발생할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